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김수희 전문가
엘림실내악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모세가 십계를 받은 시내산..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튀르키예 시나이 반도의 시내산으로 그 정상에서 모세가 10계명을 받았다는 곳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비육지탄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떤 고사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비육지탄은 삼국지의 주인공 중 하나인 유비와 관련된 사자성어인데요, 장수가 전쟁에 나가지 못하여 넓적다리에 살이 찌는 것을 한탄한다는 뜻으로, 뜻을 펴보지 못하고 허송세월을 보내는 것을 뜻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안되vs안돼 어떨때 어떤걸 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돼는 되어의 약자입니다.안되 와 안돼의 구분은안하, 안해로 치환했을 때 익숙한 것을 사용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호랑이가 곶감을 무서워 한다는 속담을 어떻게 생겨 났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나무꾼이 산에서 나무하다가 점심으로 먹던 곶감을 빼앗아 먹은 호랑이가 목이 막혀서 죽을뻔하다가 살아난 후로곶감을 무서워한다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음력을 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음력은 태음력이라 하여 달이 지구를 도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요. 이는 고대부터 시작된 가장 오랜 역법인데 현재도 우리나라나 중국 등 동양에서는 삶의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 제례나 농사, 어업 등에서는 널리 사용하고 있지요. 우리의 전통 명절인 설과 추석 역시 음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의 나이도 음력을 기준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왕들은 잠행을 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왕이 평상복을 입고 몰래나가서 민심을 살피는것을 미복잠행이라고 합니다. 옛날에는 대부분의 백성들이 자기네 왕의 얼굴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가능했는데, 왕이 미복잠행을 할 때는 안전을 위해서 대개 무술경호원이 동행하였습니다. ‘암행이 뚜렷한 목적과 목표를 갖고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돌아다니는 행동임에 비해 ‘잠행’은 특정한 목표없이 민생을 살피는 것을 말합니다. 왕은 미복잠행을 하면서 백성들의 생활을 살피며 이를 국정운영에 참고하는 일이 많았고, 백성들의 고충을 해결해주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자신의 비방을 하는 등 마음에 들지 않는 백성에게는 형벌을 내리는 일도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호패법은 어떻게 실시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호구조사는 3년에 1번씩 이뤄집니다.이때 각 집의 대표는 주소, 본인의 이름,ᆞ나이,직역[신분을 보여주는 표시], 아내의 이름ᆞ나이,본관, 함께 살고 있는 노비 등을 적어 냅니다.​그러면 마을에서 사실여부를 검토한 뒤에담당 주ᆞ군현으로 올려보냅니다.​국가는 이 호적을 바탕으로 혹시라도 군역을 피하려는 꼼수를 부리지 못하게성인 남성에게 호패를 만들어 준 겁니다.​호패는대상자가 성명, 출생신분, 직역, 거주지 등의내용이 담긴 문서를 작성해 내면관청에서 보유한 호적과 일치하는지 확인한 뒤제작하여 줍니다.​정리하자면, 호적 장부를 작성하는게 우선이고이 호적을 토대로 호패를 만드는 겁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는 태풍이 오면 어떻게 대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농사짓는 농민들은 날씨를 보고 큰비(태풍) 올거 같다 판단하면 논의 물을 빼고 농수로를 미리 손보고, 수해 예상된다면 높은곳으로 대피 아니면 집에서 나가지 않기 이게 전부 다였습니다.그리고 태풍이 지나간 뒤 수령들은 재산 인명피해를 파악해 보고하며 장계까 조정에 올라오면 임금이 보고 피해가 큰 지역에 대한 구휼을 명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설날과 추석은 언제부터 지내온건가요?
추석은 신라시대부터 지내온것으로 기록 되어 있습니다.가윗날 기원 설은 김부식의 에 의해 전해진 설로써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때 6부를 둘로 나누어 왕녀의 통솔아래 7월 15일부터 한달 동안 길쌈(두레삼)삼기 내기를 하여 마지막 날인 8월 15일 날 심사를 하여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제공하고 회소곡(會蘇曲)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놀았다는데서 유래한다.전승 기념일 기원 설은 일본 승려 원인(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의해 전해지는 설로 이 책 2권에 "오직 신라에서만 8월 보름에 명절을 배풀었는데 옛날 발해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날을 기념하기 위함이다"라고 적여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의 스님은 어떤분이신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초문사에 계신 순도 스님 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절(375년)은 소수림왕 2년(372년)에 전진에서 귀화한 순도 스님을 맞아 지은 "초문사"입니다. 이로서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었던 것입니다.
66676869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