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발등 힘줄 염증 언제즘 나을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 부상을 입으셨고 학원 강사셔서 자주 움직여야 한다면 여러가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발목에 무리가 덜 가도록 가능하면 짧고 천천히 걸어주시는게 좋으며 발 전체가 아닌 발 뒤꿈치부터 땅에 닿도록 착지하는게 충격 완화에 좋으며 발목이 갑자기 꺾이지 않도록 주의하시는게 좋습니다.또한 앉아 있을 때는 발목을 가능한 높게 올려 붓기를 완화시켜주시고 너무 오래 꼬거나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해주시며 발목이 아프다 보니 몸이 무의식적으로 한쪽으로 기울거나 삐딱해질 수 있으니 거울 앞에서 자세 점검 또는 주변에 부탁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태어나서 겪는 모든 후천적인 요인을 배제한다고해도 신체는 100% 유전으로 설계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유전자는 설계도일 뿐 실행 같은 경우 세포 내 환경과 복잡한 조절에 달려 있으며 확률적 변동성과 생물학적 잡음은 유전자가 완벽하게 동일한 결과를 내지 못하게 만듭니다. 또한 배아 발달 등 생물학적 발달은 복잡한 신호 네트워크와 자기조립 과정을 거치기에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발목인대파열 전거비2도, 종거비 3도 파열 발등이 잘 부어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발목 인대 파열로 인해서 4주 반깁수 이후 현재 9주 정도 시간이 지났다면 붓기가 안 빠지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으며 부상과 장시간 고정으로 인해 혈액과 림프액 순호나이 잘 안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손상 부위 주변 조직에 염증이 남아 있으면 붓기가 오래 갈 수 있고 부종 때문에 신경이 눌리면 통증과 저림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또한 관절 움직임과 근력 회복이 늦으면 부종이 더 오래갈 수 있고 혈전이나 감염 다른 전신적 문제 가능성은 낮지만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발목과 손가락 부종이 같이 있따면 전신적인 순환 문제일 가능성도 있지만 보통은 같은 쪽 말단 림프 순환 장애 때문일 수 있으며 신경 압박으로 인한 통증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에 증상이 지속되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팔꿈치가 혹시 금간건지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팔꿈치를 뒤로 강하게 충격 받고 멍든 느낌과 욱씬거림이 16일째 계속되고 있다면 주의가 필요하며 평소에도 팔꿈치가 삐걱거리거나 불안저하게 느껴진 적이 있고 이번에 뒤로 강하게 충격이 가해졋다면 여러가지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관절의 손상으로 인해 팔꿈치가 완전히 빠지지 않더라도 관절이 일시적으로 어긋났다가 돌아오는 경우가 있고 인대나 힘줄에 염좌 또는 부분 파열이 있을 수 있으며 겉으로는 멍이나 통증만 보여도 뼈에 금이 가거나 미세 골절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통증과 불안정감이 2주 점게 지속된다는 것은 단순 타박상보다는 조직의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세포 분열과 유전자 발현, 단백질 생성 등은 미세한 오차와 확률적 변동성 등 이런건 우리가 조절하거나 바꿀수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세포 분열 유전자 발현 단백질 생성 같은 생명 현상은 본질적으로 복잡하고 확률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세한 오차와 확률적 변동성을 가지고 있고 개인이 직접 미세한 분자 수준에서 이 모든 것을 제어하기는 어려우며 생명공학 유전자 편집 기술 약물 개발 및 세포 치료법등을 통해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조절하거나 변형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391
392
393
394
3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