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혈전검사을 받아 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 화이자처럼 mRNA 백신의 드물지만 주의해야할 부작용으로 심근염과 심낭염이 있습니다.심근염은 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고, 심낭염은 심장 외벽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공통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가슴 통증호흡곤란심장 빈박, 두근거림, 심박수 증가접종 후 가슴통증, 답답한 증상 호소하시는분들이 어느정도 있지만, 대부분 증상이 호전된다고 하십니다.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계속 지속되신다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코로나 19 백신 2차접종 후부스터샷은 언제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 부스터샷은 1번 맞는걸로 계획되어 있습니다.1. 현재 국내에선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 이상 지난 60대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등 우선접종 직업군, 50대 연령층 등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진행 중입니다.2. 단,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입소·종사자와 60대 이상 고령층,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는 5개월,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 2개월로 접종 간격을 줄였습니다.3. 현재 확진자 증가로 인해 모든 추가 접종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접종 지침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집단은 추가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4주 앞당길 수 있다고 합니다.
Q. 특정단백질 알레르기 있을시 코로나 예방주사 접종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두유알러지가 있더라도 코로나 백신을 못맞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보다 접종 후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다음과 코로나 예방백신의 구성물질에 중증알러지 반응이 있었으면 접종할 수 없습니다.1. 화이자, 모더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약물, 대장 내시경용 장 준비제품(장 세척제), 기침 시럽, 화장품, 피부 및 수술 중 사용되는 의료 제품, 치약, 렌즈 및 콘택트렌즈 솔루션 등의 제품에서 발견됩니다.2.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식품의 유화제, 비누 및 화장품(점안액 포함)의 계면활성제 또는 구강세척제의 가용화제, 의약품 등에 포함 되어 있습니다.3. 모더나: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완충액 시약의 일종으로 일부 조영제(MRI) 및 항암제, 혈액응고인자 VII 주사제 포함되어 있습니다.
Q. 가슴이 좀 두근두근 대는데 졍원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 화이자처럼 mRNA 백신의 드물지만 주의해야할 부작용으로 심근염과 심낭염이 있습니다.심근염은 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고, 심낭염은 심장 외벽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공통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가슴 통증호흡곤란심장 빈박, 두근거림, 심박수 증가증상 호전없이 지속되신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심전도, 혈액, 초음파 검사 등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가까운 병원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얀센 1차 맞고 모더나 부스트샷 맞아도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특히 얀센접종자의 경우 예방효과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접종 후 2달이 넘은 분들에게 부스터샷 사전예약 접종 대상에 포함되어 있습니다.모더나 부작용은 얀센과 마찬가지로 접종부위가 뻐근한 국소증상 열, 두통, 근육통 과 같은 전신증상 정도가 있습니다.심근염, 심낭염이 아주 극히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나, 빠른 검사와 치료를 하면 큰 문제없이 나아집니다.
Q. 화이자 2차 접종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화이자 백신 1차 접종후 호흡 곤란, 가슴 두근거림, 심장이 죄이면서 식은땀 나는 등 심근염 의심 증상이 있었네요병원에서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심전도 검사 등을 하신 뒤 심근염, 심낭염 진단이 없었으면 2차 접종을 하셔도 됩니다.참고로 만약 심근염, 심낭염 진단을 받았으면 정부의 지침이 있을 때 까지는 접종을 보류하도록 되어있습니다.2차 접종 후 동일 증상이 생기는 지 잘 관찰하시고, 증상발현 시 병원에 가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Q. 코로나 백신 후 독감백신은? 부작용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 백신 접종과 독감백신 접종은 동시에 맞아도 됩니다. 코로나 접종 1주일 정도 지나고 몸컨디션이 괜찮으시면 독감접종을 진행하셔도 괜찮습니다.현재까지 코로나 백신과 독감 백신 동시 접종으로 이상 반응이 생기거나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에서도 두 백신 간의 접종 간격 제한을 없애고 있습니다.참고로 독감 예방 접종도 마찬가지로 보통 접종 2주 뒤 항체가 형성되고 6개월간 예방 효과가 지속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독감 백신은 독감 유행 전인 9~11월에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