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코로나 다 맞은후 부스터샷 맞아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부스터샷의 지속기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서 확실하지 않지만, 1년에 1번정도 주기적으로 백신을 맞아야 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부스터샷 도입이 된 배경과 효과를 말씀드리자면1. 현재 각종 국내외 연구에서 기본접종 완료 약 4~5개월 전후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 감소가 관찰된 것을 보고되었습니다.    (국내) 의료진 대상 결합항체, 중화항체 검사에서 4개월 이후 항체가 감소 관찰(Vaccines, ‘21)     (미국, 독일 등 6개국) 화이자백신 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 효능 96.2% → 4~6개월 후 83.7%(medRxiv, ’21)    이스라엘의 연구에서는 추가접종 시 감염 예방효과가 11배, 위중증 예방효과가 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2. 기본접종 후 시간이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자, 추가접종, 즉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화이자백신 기본접종자 중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확진율 11.3배, 중증화율 19.5배 감소(NEJM, ’21),   기본접종 5개월 후 추가접종으로 입원예방 93%, 중증감염예방 92%, 사망예방 81% 효능이 확인 되었습니다.(Lancet, ‘21)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추가접종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추가접종의 이상반응은 기본접종과 유사하고, 연령별 또는 백신 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접종 후 문자 전송을 통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결과, 3일차를 기준으로 기본접종보다 추가접종의 이상증상 응답률이 낮았습니다.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얀센 접종후 모더나 접종 부작용 치료문의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모더나 접종 후 전신 알러지 증상의 경우 병원에 가셔서 적절한 치료를 받으셔야 할 상황입니다.알러지가 더욱 악화 시 위험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빨리 근처 병원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백신을 맞아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백신을 접종한다고 무조건 감염이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그 이유로는 4가지 정도 생각해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1. 백신 접종 뒤 일정시간(4~5개월)이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진다.2. 백신 접종 뒤 2주정도 지나야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다.3. 아직 안맞은 30%가 있기 때문이다. 아직 미접종자는 1000만명이나 된다.4. 바이러스 감염이 활발한 겨울에, 방역을 완화해서 더욱 감염이 일어나기 쉽다.비록 백신을 맞더라도 100% 예방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감염을 어느정도 예방해주고 중증화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해주기 때문에 백신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코로나백신 3차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부작용에 대해 말씀드리면,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에 따르면 부스터샷 부작용에 대해 부작용의 빈도와 유형은 2차 접종 후 나타나는 것과 비슷했으며, 대부분 경미하거나 오래가지 않았다”고 합니다.정부발표에 따르면 화이자백신 기본접종자 중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확진율 11.3배, 중증화율 19.5배 감소(NEJM, ’21), 기본접종 5개월 후 추가접종으로 입원예방 93%, 중증감염예방 92%, 사망예방 81% 효능이 확인 되었습니다.(Lancet, ‘21)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시노팜 백신효능이 어떻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시노팜은 불활화 백신으로서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항원으로 체내에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전통적인 백신입니다.중국 제약사인 시노팜과 시노백은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사용 승인 당시 감염 예방효과가 각각 78%, 51%라고 밝혀, 화이자(95%)·모더나(94.1%) 등 백신에 견줘 예방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그러나 시노팜은 중동이나 동남아권에서 접종이 이뤄지고 있지만 높은 백신 접종률에도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물백신' 논란이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화이자 2차 백신 맞고난후 두통이 사라졌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백신 부작용 정보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주사 부위의 통증, 발진, 가려움, 부어오름 등에 이어 전신적으로 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메스꺼움이 등이 있습니다. 피로감은 백신의 면역반응으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으로 보통은 2~3일뒤 호전됩니다. 참고되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백신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얀센 백신은 접종 후 2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예방률이 급감한다는 해외 연구 사례 등을 고려해 추가접종 간격이 2개월로 크게 앞당겨 져 있습니다. 부스터샷 접종 후 지속기간은 아직 확실한 연구자료는 없습니다. 부스터샷이 적용된지 얼마 안되었기 때문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부스터샷이 무엇인가요 ? 의학적으로 효과가 증명 된 것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현재 각종 국내외 연구에서 기본접종 완료 약 4~5개월 전후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 감소가 관찰된 것을 보고되었습니다.    (국내) 의료진 대상 결합항체, 중화항체 검사에서 4개월 이후 항체가 감소 관찰(Vaccines, ‘21)     (미국, 독일 등 6개국) Pf 백신 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 효능 96.2% → 4~6개월 후 83.7%(medRxiv, ’21)    이스라엘의 연구에서는 추가접종 시 감염 예방효과가 11배, 위중증 예방효과가 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2. 기본접종 후 시간이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자, 추가접종, 즉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화이자백신 기본접종자 중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확진율 11.3배, 중증화율 19.5배 감소(NEJM, ’21),   기본접종 5개월 후 추가접종으로 입원예방 93%, 중증감염예방 92%, 사망예방 81% 효능이 확인 되었습니다.(Lancet, ‘21)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추가접종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추가접종의 이상반응은 기본접종과 유사하고, 연령별 또는 백신 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접종 후 문자 전송을 통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결과, 3일차를 기준으로 기본접종보다 추가접종의 이상증상 응답률이 낮았습니다.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로나19vs백신부작용 중 뭐가 더 위험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mRNA 코로나 백신으로 사망하는 원인으로는 심근염, 심낭염이 대다수입니다.백신 접종 후 국내에서 확인된 심근염과 심낭염 이상 반응은 163건이며 100만 명당 발생 빈도는 모더나 6.6건, 화이자 5.5건 등 0.001%에도 못 미칩니다. 반면 코로나 감염 환자는 4명 중 1명, 사망 환자는 절반 이상에게서 심근 손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감염보다 접종 시 이득이 크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백신접종을 권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코로나 걸린뒤 부작용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은 WHO에 의하면. '코로나19에 감염됐거나 증상 시작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다른 진단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최소 한 가지 이상 증상이 2개월간 지속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WHO에 꼽은 대표적인 코로나19 후유증은 피로와 호흡곤란, 인지장애 등입니다.영국 국립보건연구원(NIHR)과 옥스퍼드대 공동연구팀이 코로나19 완치자 27만36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중 37%가 감염 후 3~6개월 사이 하나 이상의 후유증을 겪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우울감과 불안장애(15%)였고, 호흡곤란(8%)과 복통(8%), 흉통(6%), 피로(6%), 두통(5%), 인지장애(4%), 근육통(1.5%) 순이었습니다.2.코로나 감염전후로는 흡연을 안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흡연을 하면 폐 건강이 나빠지고 상기도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데, 코로나 바이러스까지 감염돼 ‘엎친 데 덮친 격’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로나 환자의 흡연 형태 및 증상 악화 등에 관한 논문 총 46편을 분석한 결과, 흡연자(과거 흡연 경험 포함)는 비흡연자보다 코로나 증상 악화가 1.59배 수준, 코로나 사망은 1.19배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