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가 g7정식 국가가 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G7은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의 7개 선진 민주주의 시장경제국으로 구성된 협의체입니다. 이들 국가는 전 세계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국제 경제, 외교, 안보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협력합니다. G7은 공식적인 가입 요건이나 사무국이 없으며, 매년 의장국이 순번제로 바뀌면서 회의를 주최하고 의제를 설정합니다.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이며, 일부 G7 회원국에 근접하거나 앞서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ICT, 자동차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확고한 자유민주주의 체제와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G7의 핵심 가치와 부합합니다.
Q.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의 최대 당면 과제는 어떤게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인쉬위 없이 곧바로 국정 운영에 들어가야 하는 만큼, 이재명 정부의 핵심 국정 철학과 비전을 명확하게 수립하고, 이를 구체적인 정책 과제와 추진 로드맵으로 빠르게 전환하여 대국민에게 제시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선거 과정에서 제시된 수많은 공약들 중 어떤 것을 우선적으로 추진할지,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방법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해야 합니다. 특히, 재원 조달 방안에 대한 국민적 의구심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나타난 깊은 사회적, 이념적 갈등을 봉합하고, 국민적 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국정 기조와 메시지를 제시해야 합니다. 국정기획위가 이 역할을 주도해야 합니다.
Q. 한류는 대한민국의 경제성장과 무슨 관련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K-팝, K-드라마, K-영화, K-게임 등 문화 콘텐츠 자체의 해외 수출액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2022년 기준 K-콘텐츠 수출액은 약 132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차전지 등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과 견줄 만한 수준입니다. 콘텐츠 수출은 국내 생산을 유발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GDP 성장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문화 콘텐츠 산업은 아이디어와 창의력이 핵심인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적은 자원으로도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제조업 중심의 한국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고 선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콘텐츠 기획, 제작, 마케팅, 유통 등 문화 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 매력적인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