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더본코리아가 왜 이렇게 갑자기 털털 털리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백종원 대표의 더본코리아가 최근 몇 달간 여러 논란에 휩싸이며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것이 맞습니다. 과거에는 백종원 대표의 인지도와 프랜차이즈의 가성비로 큰 인기를 누렸지만, 최근 불거진 문제들은 단순히 일회성 해프닝이라기보다는 기업의 신뢰도와 도덕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이어지면서 여론의 비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연돈볼카츠 일부 가맹점주들이 더본코리아가 가맹점 개설 당시 월 3천만 원 이상의 예상 매출액을 제사하며 홍보했지만, 실제 매출액은 이에 훨씬 미치지 못해 큰 손실을 보고 있다고 주장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습니다. 처음에는 더본코리아 측이 점주들의 주장을 부인했지만, 이후 지상파 방송사를 통해 매출액을 과장하여 이야기한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더욱 커졌습니다.
Q. 위지윅스튜디오 주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위지윅스튜디오는 CG/VFX 기술을 기반으로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광고 등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업입니다. 자회사들을 통해 콘텐츠 기획, 제작, 투자/배급, 연예 매니지먼트, OST 제작 및 유통 등 종합 미디어 콘텐츠 그룹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최대 주주는 컴투스입니다. 현재 위지윅스튜디오의 주가는 실적 부진과 메타버스 테마의 약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는 여전히 뜨겁습니다. 위지윅스튜디오는 다수의 히트작 제작에 참여했거나 자회사를 통해 제작하는 등 K-콘텐츠의 핵심적인 제작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협력 등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 및 매출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Q. 스트레스 DSR 제도 도입 되면 현재 미분양 아파트, 빌라 등 건설사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스트레스 DSR 3단계가 적용되면 대출 금리에 가산되는 스트레스 금리가 기존보다 높아져, 차주가 받을 수 있는 대출 한도가 더 줄어듭니다. 이는 특히 변동금리 대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기존에 4억 원 대출이 가능했던 경우, 3단계 도입 시 2천만 원에서 3천만 원가량 대출 한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대출 한도 축소는 주택 구매를 계획하던 잠재적 수요자들의 자금 마련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계층이나 영끌 수요가 감소하면서 주택 거래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택 구매 수요가 줄어들면 이미 쌓여있는 미분양 주택의 소진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이는 건설사들의 현금 흐름을 악화시키고, 금융 비용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Q. 이재명대통령이 정책적으로 내세우고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며, 이와 연관된 여러 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첨단 산업 및 친환경 산업에 집중하는 모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AI 산업을 국가의 새로운 먹거리로 보고 있으며, AI 3대 강국 도야, AI 투자 100조 원 시대 개척을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가장 핵심적인 공약 중 하나로 꼽힙니다. 정부와 민간이 함께 100조 원 규모의 AI 투자 펀드를 조성하고,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조성 및 글로벌 AI 허브 구축을 추진합니다. 또한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 중립을 위한 에너지 전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과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Q. 오늘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관세 50%인상안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이는 한국 시간으로 오늘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됩니다. 이 소식은 이미 25% 관세로도 어려움을 겪던 한국 철강 기업들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25% 관세에도 불구하고 한국 철강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미 수출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가격 경쟁력 유지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50%의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철강 가격이 아무리 높다고 해도 한국산 철강 제품은 가격 경쟁력을 거의 상실하게 됩니다. 이는 곧 미국 시장에서 한국산 철강의 판매가 사실상 불가능해짐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