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금리 인상이 국내 예금 상품의 금리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직접적으로 한국의 예금 금리를 결정하지는 않지만,외국인 자본 유출입, 외환 시장 변동을 통한 물가 압력, 그리고 국내 채권 시장의 금리 변화 등을 통해 한국 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국내 금융기관의 예금 상품 금리에도 간접적인 상승 압력을 가합니다.금융기관들은 이러한 대외적 요인과 국내 경제 상황, 한국은행의 통화 정책 방향, 그리고 시장 내 경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예금 금리를 설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미국 금리 인상은 국내 예금 금리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Q. 현대제철이 경북 포항2공장 폐쇄를 추진하고 있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현대제철이 경북 포항2공장 폐쇄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은 철강 업계에 충격을 주고 있으며, '굴지의 대기업'인 현대제철이 어쩌다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지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단순히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내외 철강 산업 전반의 구조적인 어려움과 맞물려 있습니다. 현대제철 포항2공장은 주로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H형강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국내 건설 경기가 침체되면서 철근, H형강 등 건설용 철강재 수요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수요가 없다 보니 포항2공장의 가동률은 최근 10~20% 수준으로 매우 저조했습니다. 공장을 돌릴수록 손해가 발생하는 구조였던 셈입니다. 결국 효율적인 생산 운영과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가동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입니다.
Q. 롯데그룹이 공중분해될 위기에 처했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롯데그룹이 현재 심각한 경영 위기 와 구조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는 점은 여러 보도를 통해 확인됩니다. 과거 '형제의 난'으로 인한 경영권 분쟁과 국적 논란 등 내홍을 겪은 바 있으며, 최근에는 핵심 계열사들의 실적 부진과 재무 건전성 악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의 핵심인 유통 사업은 막대한 누적 적자를 기록하며 시장에서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면세점 사업 역시 중국인 단체 관광객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폐점, 희망퇴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진행 중입니다. 롯데케미칼은 유가 변동성, 글로벌 석유화학 업황 불황, 중국의 자급률 상승, 중동의 저가 공세 등으로 인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룹 전체의 재무 건전성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과거 발행한 회사채의 재무 약정까지 위반하는 상황에 이르러 유동성 위기설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