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전자산인 금관련 금융상품이 각 은행별로 여러가지가 있다고 하는데, 현재 금값이 많이 오른 상태인데, 금상품에 투자를 해도 되는 시기로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위기 시 안전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금값 상승 요인들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상승 여력이 있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이미 많이 오른 상태이므로 단기적인 고점일 수 있다는 부담이 있습니다. 투자 시점 이후 가격 조정이 올 경우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금 자체는 배당이나 이자 수익을 주지 않는 자산입니다. 오직 가격 상승을 통해서만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금은 안전자산이지만, 국제 정세나 경제 상황에 따라 단기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금은 단기적인 시세차익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트폴리오의 분산과 인플레이션 헤지 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비트코인이 몇일째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비트코인이 상승할 때 알트코인은 오히려 잠잠하거나 하락하는 현상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이며, 이를 비트코인 도미넌스 상승 또는 알트코인 디커플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은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인식됩니다.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거나 새로운 자금이 유입될 때, 투자자들은 위험성이 높은 알트코인보다는 비트코인으로 자금을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상승할 때, 시장에 새로 들어오는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먼저 유입되거나, 기존 알트코인 투자자들이 알트코인을 팔아 비트코인으로 갈아타면서 비트코인만 오르고 알트코인은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모바일뱅킹 이체 수수료 면제되는 은행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에는 대부분의 시중은행과 인터넷 전문 은행에서 모바일뱅킹(스마트뱅킹)을 통한 타행 이체 수수료를 조건없이 전면 면제하고 있습니다. 주거래 은행을 옮기지 않더라도 현재 사용하고 계신 은행의 모바일뱅킹 앱을 통해 이체하시면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사실상 주요 은행들은 경쟁적으로 모바일뱅킹 수수료 면제를 기본 정책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혹시라도 불안하시다면 사용하시는 은행의 모바일뱅킹 앱에서 이체 시 수수료 부과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거나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문의하시면 정확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