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액으로 코인투자 요즘 고민이예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위험을 감수하고 높은 수익을 노리는 공격적인 투자자인지, 아니면 안정적으로 위험을 분산하는 보수적인 투자자인지 스스로에게 질문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한 가지 코인에 집중한다면, 해당 코인의 기술, 사용처, 개발팀, 시장 전망 등을 정말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합니다. 단순히 '오를 것 같다'는 막연한 기대보다는 철저한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소액이라 할지라도 단기적인 변동성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 가지고 코인에 투자를 하면 해당 코인이 하락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모든 투자금을 잃을 수 있습니다. 몰빵 투자는 그만큼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Q. 코인거래소를 통한 투자 수입은 납세 대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투자로 얻은 수익은 현재도 납세 대상이지만, 과세 시행 시기가 여러 차례 유예되어 아직 실제 세금 납부는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흔히 이야기하는 '금융투자소득세'와는 별개의 과세 체계를 가집니다. 현행법 및 현재 상황은 가상자산을 양도하거나 대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득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과세 대상입니다. 원래 2023년부터 과세가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과세 인프라 미비, 투자자 혼란 방지 등의 이유로 2027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것으로 최종 유예되었습니다. 즉, 2027년 1월 1일 이후 발생한 가상자산 소득부터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Q. 미국은 이민자의 나라인데, 왜 이민 문제로 사회적 갈등이 심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건국 초기는 유럽 이민자들이 새로운 기회를 찾아 대규모로 유입되던 시기였습니다. 당시에는 광대한 영토와 노동력의 필요성 때문에 이민에 대한 문턱이 비교적 낮았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 아시아계 이민자에 대한 차별적인 법률이 제정되는 등 특정 인종이나 국적의 이민을 제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인종주의적, 이민배척주의적 정서가 결합된 결과였습니다. 1965년 이민법 개정은 인종 차별적 쿼터제를 폐지하고 가족 재결합과 전문 기술 이민을 중심으로 이민 정책의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는 비유럽권 이민자의 유입을 크게 늘렸고, 미국의 인구 구성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로부터의 불법 이민자 유입이 증가하면서 국경 보안 강화와 불법 체류자 문제 해결이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 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국경 장벽 건설과 강경한 이민 정책은 이러한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