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마드리드 공항에 노숙자들이 들끓고 있다는데 스페인은 지금 어떤 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언급하신 것처럼 지난 10년간 임대료가 두 배가 상승했으며, 지난 한 해 동안만 11%나 상승했습니다. 이는 스페인 국민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임차 가구의 거의 40%가 소득의 40% 이상을 주거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습니다. 높은 주택 수요에 비해 이용 가능한 임대 주택 공급이 현저히 부족한 심각한 불균형이 존재합니다. 바르셀로나와 같은 도시에서는 각 임대 매물에 대한 경쟁이 극적으로 심화되었습니다. 스페인은 유럽에서 사회 주택 비중이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에게 저렴한 주거 옵션이 제한적입니다. 주택 수요에도 불구하고 높은 건설 비용, 토지 부족, 노동력 부족 등으로 인해 신규 주택 개발이 부진합니다.
Q. 10프로짜리 적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10%의 이자를 매년 받을 수 잇는 적금 상품은 현재 시중은행에서는 찾아보기 매우 어렵습니다. 과거 고금리시대에는 10%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 상품이 있었지만, 현재와 같은 저금리 시대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중 은행의 적금 금리는 2%~4% 내외이며, 우대 조건 등을 충족해야 5% 이상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과거에 일부 저축은행에서 높은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적금 상품이 간헐적으로 출시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품들은 가입 기간이나 한도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고, 현재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초에 웰컴저축은행의 '웰뱅워킹적금'이 걸음 수 달성 조건에 따라 최고 10%의 금리를 제공하기도 했지만, 기본 금리는 매우 낮았습니다.
Q. 적금 금리나 etf중에 어느게 더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적금과 ETF 중 어떤 것이 더 좋을지는 개인의 투자 목표, 기간, 위험 감수 수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원금 손실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다면 적금이 더 적합합니다. 특히 단기적인 자금 운용이나 목돈 마련에 유용합니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고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투자 관점을 가지고 있다면 ETF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ETF를 통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시장 상황에 맞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적금과 ETF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금융 상품입니다. 본인의 투자 목표, 기간, 위험 감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