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설사의 순이익률이 낮은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건설 프로젝트는 철근, 콘크리트, 시멘트 등 다양한 원자재를 필요로 합니다. 국제 정세, 수급 불균형 등으로 인해 자재 가격 변동성이 크고, 이는 곧 공사 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원자재 가격 급등 현상이 심화되어 건설사들의 원가 부담이 더욱 커졌습니다. 숙련된 건설 노동 인력 부족과 인건비 상승 또한 원가 상승에 영향을 미칩니다. 많은 건설 공정이 하도급 형태로 진행되는데, 하도급 업체의 비용 상승은 건설사의 원가 부담으로 전가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택 건설 사업의 경우, 토지 매입 비용이 전체 사업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토지 가격 상승은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낮추는 주요 원인입니다.
Q. 부채비율이 몇프로 이상이면 파산위험이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 초과하면 재무 구조가 불안정하다고 평가하며, 300% 이상이면 파산 위험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산업 특성, 기업 규모, 성장 단계,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제조업, 건설업 등 자산 규모가 큰 산업은 설비 투자 등으로 인해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꾸준한 수익성과 현금 흐름을 유지한다면 위험 수준이 낮을 수 있습니다. IT, 서비스업 등 무형 자산 비중이 높은 산업은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높은 부채비율은 재무적 위험 신호로 해석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