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따뜻하고 똑똑한 노무사 옥동진입니다.
따뜻하고 똑똑한 노무사 옥동진입니다.
옥동진 전문가
노무법인 늘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실업급여 조건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일 할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하지 못하고 있을 때, 다음 일자리를 구하기 위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지급되는 급여’입니다.따라서 근로를 계속 할 수 있음에도 근로자가 스스로 회사를 그만두는 자발적 사직의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휴일·휴가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연차수당을 5일치만 준다고 합니다. 합의하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만약 회사에서 근로기준법상 연차휴가사용촉진제도를 적법하게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특별한 사정없이 연차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회사가 연차수당을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임금·급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표준외 근로시간동안 2시간의 야근을 하면 식대지급은 법적의무사항인가요?
안녕하세요.근로기준법 기타 노동관계법령에서는 식사 제공과 관련된 내용을 명시하고 있지 않습니다.즉, 법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식대 지급 의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에 ‘2시간의 야근을 하면 식대를 지급하여야 한다’ 는 내용이 있다면 이는 계약 내용이므로 회사가 이를 이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임금·급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최저임금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저시급 및 최저임금은 최저임금법에 의한 것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한 모든 근로자-사용자에게 적용됩니다. 최저시급과 구분하여 말씀하신 최저임금은 추정컨대 최저시급 기준 월급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주5일, 일8시간 정상근무시 최저시급 기준으로 산정된 월급입니다. 즉 근로계약을 체결한 통상근로자가 정상적으로 근로를 제공한다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월급입니다.
임금·급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계약직으로 근무를 2년하다가 정규직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동일한 사업장에서 계속근로한 것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정규직 전환 이전 계약직 근무 기간도 계속근로기간에 산입되어야 하므로 2년도 퇴직금 산정 기간에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226
227
228
229
2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