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마승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마승우 전문가입니다.
마승우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2월 10일 작성 됨
Q.
돈을 많이 벌수록 세금을 많이 내야 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마승우 세무사입니다.소득세법상 과세표준이 늘어날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누진 구조로서 소득이 높을수록 세금을 많이 내게 되어 있습니다. 소득이 높은 자가 조세부담능력이 높은 것으로 보아 더 많은 세금을 부담시키는 것 입니다.
2023년 2월 10일 작성 됨
Q.
직장인이 받는 월급은 종합과세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마승우 세무사입니다.근로소득은 소득세법상 종합과세 대상으로 직접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납세 편의를 위해 회사를 통해 연말정산이란 절차를 거치는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 2월 10일 작성 됨
Q.
이자나 배당소득에 대한 세율은 원천징수로 14%라고 합니다. 근데 실제로 배당금 받아보면 15.4%라고 하는데 왜이런거죠?
안녕하세요. 마승우 세무사입니다.소득세법상 과세소득에 대해 10%가 가산되는 것이 지방세법상 개인지방소득세 입니다. 배당소득이 2천만원 이하이더라도 배당소득세 14%에 그의 10%에 해당되는 1.4%가 가산되는 것 입니다.
2023년 2월 10일 작성 됨
Q.
재산세는 1년에 연납 할 수 있나요? 그럼 혜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마승우 세무사입니다.자동차세의 경우 연초에 그 해당연도의 세금 부담액이 정해져 미리 납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재산세는 토지 등의 개별공시지가가 먼저 산정이 되어야 하고 그 이후에 재산세액이 산출됩니다.결국 산정절차상 미리 납부하기 곤란한 것 입니다
2023년 2월 10일 작성 됨
Q.
주식 양도세 신고 안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마승우 세무사입니다.해외 주식 등을 양도시 차익이 250만원 초과시에는 다음해 5월 중 양도세를 신고 및 납부하여야 합니다. 무신고시에는 실제로 부담하여야 할 세금 외에도 가산세가 추가로 부가되므로 신고 및 납부하는 것이 효율적 입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