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전공과목 외에는 가물가물 하네요 ^^;
임종한 전문가
통영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심리상담
이비인후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귀에도 무좀이 생길 수 있나요?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무좀의 경우 다양한 부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의 무좀이 전이되는 양상으로)- 주로 체부, 사타구니 쪽을 많이 보긴 합니다만...귀에 무좀?은 기존의 귀의 피부 병변에 곰팡이 균이 감염된 경우를 이야기 하는 듯 하네요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3120702447
내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혈압약을 2년정도 복용중입니다 관리 부족할까요?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염분 섭취를 줄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커피 감소, 절주, 금연 등도 도움이 될 듯 하고. 운동도 평상시 활동이 많다고 하시더라도일주일에 3-4회, 20-30분, 가볍게 땀이 날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피부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마사지를 받거나 기계로 마사지 하는거에 대해서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 개인적인 생각으론 맛사지가 나쁠 이유는 없을 듯 합니다만.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이나 통증의 원인이 (단순 근육통이 아니라) 따로 있는데 맛사지로만 조절하다가, 원인 발견이 늦어지는 상태 등은 조심하셔야 할 듯 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자꾸 머리 쪽에서 피딱지 같은게 생기는데 이유를 모르겠어요
대면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지루성 피부염 이나 모낭염 등의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피부과 방문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식사시 콧물이 자주 흘러나와서 민망해요..
대면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혈관운동성 비염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근본적인 치료보다는 , 대증치료가 대부분일 듯 하네요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110901569
기타 의료상담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한 번씩 머리가 띵하고 쓰러질 것 같아요
대면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스트레스 , 과도한 긴장, 탈수 등으로 인한 증상일 수도 있고 자율 신경계의 조절 문제 (기립성 저혈압 등) 등일 가능성도 있을 듯 합니만그래도 기본적인 검진은 받아보시고 , 특별한 문제 없으면 신경과나 내과 방문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이비인후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치질있는사람은 비데 사용하지 말아야하나요?
대면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치질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별 문제가 없을 듯 합니다만치질이 심하면 오히려 자극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할 듯 합니다- 좌욕 , 반신욕 , 변비 예방 등이 최선일 듯 합니다.
안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요즘 눈주위가 자꾸 붓는데 병원에 가봐야 할까요?
대면 상담 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소변 잘 나오는지 , 다리 등의 부종이 있는지 ,야간의 나트륨 섭취가 과도하지 않은지 등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신장 기능 / 전해질 검사 등도 고려해 보셔야 할 듯 하고요
산부인과
2024년 4월 19일 작성 됨
Q.
얼마정도 주기로 .빈혈이 자구 오는데요?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여성의 경우 생리로 인한 빈혈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단지 , 다른 원인 즉 위장관출혈, 철분 섭취부족, 등등의 다른 신체적 원인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4월 18일 작성 됨
Q.
뭘 집으려고 하거나 카드를 건낼때 손이 덜덜 덜리는데 왜그럴까요
대면 상담없이 댓글 작성은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아직 나이가 젊으시니 우선 카페인 / 현재 복용중인 약물 관련 가능성을 고려해 보셔야 할 듯 하고 그도 아니라면 갑상선 기능항진 등의 내과적 질환이나우울/불안/스트레스 등으로 과도한 긴장상태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별한 원인이 없고, 긴 시간(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신경과 상담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네요
406
407
408
409
4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