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세무사입니다.
세무사입니다.
문상철 전문가
한국세무사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1년 3월 24일 작성 됨
Q.
양도소득세 납부하는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Q1.양도소득세는 국세와 지방세가 있습니다.국세는 홈택스에서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각각 신고하신 후 납부서 출력하기 하시면 계좌번호와 금액이 나옵니다.이를 참고하셔서 인터넷으로 납부하시면됩니다.참고로 지방세는 위택스에서 신고한후 납부하기 버튼이 있어 해당 홈페이지에서 바로 결제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Q2.예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다만, 복잡한 건이라면 검토할 시간이 부족할 것이니 미리 신고하시는게 좋습니다.
2021년 3월 24일 작성 됨
Q.
부모님의 명의로 된 아파트를 성년인 손자에게 증여 하는것과 자식에게 증여 하는 것이 증여세에서 어떻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예 알고계신것이 맞습니다.자식에게 증여시에는 일반과세가 되지만 자녀가 아닌 직계비속 즉 손자에게 증여시에는 산출세액의 30%가 가산됩니다.이때 직계비속이 미성년자 이면서 증여재산가액이 20억원을 초과하면 40%가 할증됩니다.손자의 소득유무는 상관이 없습니다.단, 증여자의 최근친 직계비속 즉 자녀가 사망하여 손자가 증여받은 경우는 할증과세 하지 않습니다.
2021년 3월 23일 작성 됨
Q.
부부간의 증여 한도와 증여세율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단독명의 부동산의 지분 절반을 아내에게 떼어 준다면 해당가지만큼 증여로 보는 것 입니다재산형성과정에서의 기여분을 인정 받는다 주장하려면 애당초 취득당시 절반씩 등기했어야 한다 보여집니다현금 증여와 부동산 증여에서 차이는 없습니다추가로 부부간은 과거 10년 합산 6억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2021년 3월 21일 작성 됨
Q.
연말정산 금액을 퇴직한 회사에서 주지 않을 경우 어찌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당연히 근로자가 지급받아야 할 연말정산 환급금을 회사가 주지않는다면 말이 안되죠^^해당부분은 노무사와 상의 하셔서 일을 진행하시면 됩니다.노무탭쪽으로 문의 하시는게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3월 21일 작성 됨
Q.
간이과세자 세금납부에 대해 궁금?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상철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과세기간에 매출이 아예없이 무실적이라면 무실적으로 신고하시면 됩니다.신고를 안하셔도 무실적이므로 세금이 없으실 것이므로 가산세도 없으실 겁니다.단, 어떤 종류의 세금신고인지는 모르겠으나 매출은 없고 비용만 있어 당기 손실이 발생했는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한다면손실로 신고 해놓으시는게 향후 사업을 진행하실때 이월결손금 처리가 가능하니 이득이 되실것으로 보입니다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