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흰 구름 먹구름 색깔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하늘에 떠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구름 속의 물방울이 크기가 아주 작을 때는 빛을 흩어지게 만듭니다. 그러니까 빛이 골고루 반사되면서 흰색으로 보이는 거랍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하지만 구름 속에서 오르내리던 작은 물방울들이 점점 커지면 빛을 흡수하게 되고 어두워집니다. 깊은 바닷속이 어두운 것처럼 구름이 어두운 것은 그림자와 비슷하게 빛이 통과하지 못해서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구름이 낮게 깔리고 어두워지면, 구름 속의 물방울들이 무거워졌다는 뜻이고, 즉 조금 더 있으면 비가 내린다는 뜻이랍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