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꾸 누군가에게 쫓기고 귀신이 나오는 꿈의 의미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요즘 악몽 때문에 많이 힘드실 것 같아요. 꿈속에서 누군가에게 쫓기거나 귀신이 나타나는 꿈은 자주 나쁜 꿈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나 불안을 반영할 수 있어요.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아닐지 몰라도, 무의식 중에 쌓인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삶의 변화나 중요한 결정, 또는 일상적인 걱정들이 꿈에 영향을 주기도 해요. 잠꼬대나 소리 지르는 증상은 수면 중에 깊게 빠지지 못하고 얕은 수면 단계를 지속할 때 나타날 수 있어요. 규칙적인 수면 습관을 유지하고, 잠들기 전에 긴장을 푸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잠들기 전에는 핸드폰이나 TV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줄이고, 따뜻한 차를 마시거나 가벼운 독서를 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필요하면 명상이나 이완 운동을 시도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만약 이러한 방법으로도 악몽이 계속된다면 한 번 병원에서 수면 전문가와 상담해보시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Q. 요산(Uric acid) 수치가 높은데 병원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요산 수치가 높다고 나오셔서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요산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주로 신장에서 제거됩니다. 요산 수치가 높다고 해서 항상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고요산혈증은 통풍이라는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어요. 현재 질문자분의 요산 수치는 8.67로 정상보다 약간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요산 수치가 7.0 이상이면 통풍의 위험이 증가하지만, 모든 사람이 증상을 겪는 것은 아니에요. 무증상 고요산혈증의 경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통풍 증상이나 신장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육류나 해산물,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만약 관절에 통증이나 부기가 발생한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상담을 받는 것을 권합니다. 지속적인 관리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요산 수치를 조절할 수 있으니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 생리 주기가 지나서 생리를 해도 괜찮은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생리 주기가 가끔씩 몇 일 정도 늦어지는 건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어요. 월경 주기는 스트레스, 체중 변화, 수면 부족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거든요. 호르몬 변화로 짜증이 나거나 마음이 답답할 수 있고 이러한 증상은 생리가 시작되기 전이나 늦어질 때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변화가 자주 반복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더욱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해요. 이럴 때에는 병원에서 검사를 통해 다른 건강 문제나 호르몬 불균형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될 거예요.
Q. 발을 삐끗하게 되었는데, 발목에 체외충격파로 치료를 해도 괜찮은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발을 삐끗하고 나서 발목이 아프시다면 많이 불편하실 것 같아요. 체외충격파 치료는 주로 만성적인 건염이나 족저근막염 같은 질환에 적용되는 치료 중 하나에요. 급성 염좌, 즉 발을 삐끗한 상황에는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충분한 휴식과 얼음찜질, 압박 그리고 다리를 높이 올리는 응급처치가 더 효과적이에요. 발목이 얇다고 해서 체외충격파 치료가 안 되는 건 아니지만, 현재 상태에서는 우선적으로 붓기와 통증을 가라앉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어요. 며칠 정도 경과를 지켜보시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해보시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병원을 방문해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게 좋아요. 몸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게 중요하니까요. 발목을 다쳤을 때는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하시는 것도 함께 권해드려요.
Q. 음식을 씹을때마다 왼쪽 턱에 통증이 있는데요. 정형외과에 가서 체외충격파를 턱 치료를 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예요. 음식을 씹을 때 왼쪽 턱에 통증이 있다니 불편하시겠어요. 이런 증상은 일반적으로 턱관절 문제, 특히 턱관절 장애일 가능성이 높아요. 이때는 정형외과보다 구강악안면외과나 치과에서 진료를 받는 게 더 적절할 수 있어요. 체외충격파 치료는 주로 근골격계 통증에 사용되는데, 턱관절 문제에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어요. 먼저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합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아요. 또한, 집에서 평소에 무리한 턱 사용을 피하고, 부드러운 음식을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될 거예요.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반드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