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쓰러진뒤 다리를 많이 올린거 같은데 많이 안올라가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질문자분의 상황을 듣고 보니 정말 불편하고 걱정되실 것 같아요. 자주 쓰러지는 경우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혈압의 급격한 변화, 심장 문제, 신경계 문제 등등 많은 요소가 있고, 이러한 원인들이 다리에 영향을 미쳐 제대로 움직이지 못할 수도 있답니다. 특히 머리를 부딪쳤다면, 뇌나 신경에 영향이 갔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다리가 잘 올라가지 않는 증상이 있다면 신경이나 근육에 문제가 생긴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해요. 마사지는 종아리와 허벅지를 부드럽게 눌러주는 정도가 좋고, 스트레칭은 앉아서 다리를 앞으로 쭉 뻗고 10초간 유지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만약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제대로된 진료가 가능한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해드려요. 그리고 넘어질 위험이 있는 상황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 기억해 주세요.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래요.
Q. 상처에 습윤밴드를 붙여서 치료하던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습윤밴드는 상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에요. 이 밴드는 상처 부위에 습기를 유지시켜 자연 치유 과정을 촉진해줘요. 피부는 상처가 나면 치유를 위해 수분을 필요로 하는데, 습윤밴드가 이 수분을 적절하게 유지해주면서 빠르고 흉터가 덜 남는 치유를 도와줘요. 메디폼 같은 습윤밴드는 이런 역할을 하며, 상처 부위를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예요. 그러다 보니 추가로 연고를 바르지 않아도 되지요. 다만, 상처의 크기나 깊이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상처가 심하면 병원에서 검토받는 것이 좋아요. 평소에는 상처 부위를 청결히 유지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Q. 팔꿈치 부상후 통증 및 딱딱한 조직 골절 가능성 있나요?
팔꿈치 부상 후의 증상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넘어지면서 팔꿈치를 부딪쳤다면 골절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나 기능 상의 문제가 크게 개선되었다면 골절보다는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높아요. 딱딱한 조직이 만져지는데 이는 부상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염증 반응 때문에 생긴 발로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조직이 부어오르거나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들 수 있어요. 하지만 통증이 지속되고 딱딱한 조직이 계속 만져진다면, 뼈 조각이거나 연골 조각일 가능성도 있으니 병원에서 확인해 보는 것이 안전할 듯합니다. 의사 선생님과 상담하여 엑스레이 같은 검사를 통해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보면 좋겠어요. 팔꿈치를 계속 움직일 때 통증이 있다면 팔꿈치를 사용하지 않고 쉬어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병원에 가셔서 현재 상태를 확인해 보시는 것을 권장드려요.
Q.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혈액을 수혈받은 사람의 경우가 간혹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수혈을 받은 사람의 몸 상태가 어떻게 변화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받으면, 면역체계가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공격해요. 이런 상황을 수혈 부작용 또는 수혈 반응이라고 부릅니다. 가볍게는 열이나 오한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호흡 곤란이나 혈압 저하, 심지어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해질 수 있어요. 면역 반응이 심할 경우,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혈액이 응고되거나 장기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혈 전에 충분한 검사를 통해 혈액형을 정확히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수혈 후에도 이상 증상이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해요. 만약 수혈 후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알려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