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백신 화이자 1차 접종 후 일주일 만에 왼쪽 겨드랑이 림프절이 부었는데 이상신고 가능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박수경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백신 접종 후 접종부위쪽 편측의 겨드랑이 부종 혹은 겨드랑이 및 쇄골 상부 림프병증은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반응 중 하나입니다.경험적으로 보았을 때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상기 반응으로 내원하신 분들의 경우 소염진통제 복용 1~2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백신 접종과 관련이 높아보일 경우, 바로 림프병증에 대한 정밀 검사를 하기보다는 몇 주정도 약제를 복용하며 경과를 지켜보는 편입니다. 대한영상의학회 및 대한유방영상의학회에서는 환자의 백신접종 여부, 시기, 위치를 확인한 후 전신질환이나 악성질환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라면 즉각적인 조직검사보다는 6주 이상의추적관찰 후 조직검사를 권하고 있으며 다만 중간에라도 크기가 커지거나 기타 다른 증상이 발생할 경우 가까운 유방외과 등 내원하셔서 상담 받으시길 바랍니다.
Q. 임신인줄 모르고 백신맞았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박수경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임신 기간 중 어느 시기이든지 코로나 백신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나, 기저질환이 있거나 35세 이상의 고위험 인산부, 12주 미만의 초기 임산부는 의사와 충분히 상담 후 산모와 태아의 상태에 따라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미국 CDC에 의하면 임산부의 경우 코로나 감염 시 중증질환의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며(비임신 여성에 비하여 중환자실 입원 3배, 인공호흡기 치료 2.9배, 사망률 1.7배) 코로나에 감염된 임산부는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은 임산부보다 조산 위험이 증가하고 기타 부정적인 임신 결과 위험도 증가한다고 되어있습니다. 반면 mRNA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았을 경우 유산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아직 코로나 백신에 대한 장기적인 안전성과 유효성은 제한적이지만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임산부에서도 코로나 백신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