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넘어져서 생긴 골절과 멍,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다리의 어디가 골절된지 모르겠으나 골절로 인해 깁스를 하신 상태라면 일단은 뼈가 붙을 때까지 안정을 취하면서 초기 체중부하는 피해주셔야 합니다.깁스를 하게 되면 근육이 약해질 수 있으니 근손실 방지를 위해 발가락을 움직일 수 있거나 다리의 다른 관절을 움직일 수 있다면 발가락 오므렸다 펴기, 누워서 자전거 타기, 누워서 다리 편 상태로 들었다 내리기, 다리를 편 상태에서 허벅지에 힘줬다 빼기, 의자 등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무릎 폈다 구부렸다 등 할 수 있는 걸 해주시고 반대쪽 다리와 상체 운동 등을 해주셔도 전체적인 혈액순환 증진 및 부종감소, 체력증진 등이 이루어져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깁스를 한 상태이든 아니든 부종 감소를 위해 베개 등을 받쳐서 다리를 심장보다 높이 올려주시는게 좋구요, 깁스 제거 후 체중부하를 천천히 해보면서 두 다리로 서있기, 가벼운 걷기 등 의사의 조언과 상태에 따라 가벼운 운동부터 점진적으로 시작해주시면 됩니다.멍은 시간이 지나면서 천천히 사라지므로 지켜봐 주시면 되겠습니다.
재활·물리치료
Q. 엘보가생기는 이유와 증상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아림 물리치료사입니다.팔꿈치 통증의 원인으로는 팔꿈치의 과사용, 관절염, 신경압박, 구조적 문제, 외상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 팔꿈치 바깥쪽 통증인 테니스엘보, 팔꿈치 안쪽 통증인 골퍼 엘보가 있고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근육 및 힘줄에 염증이 생긴것입니다.휴식을 가지시면서 과하게 사용하는 것을 피해주시고 스트레칭을 통해 유연성을 도와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필요시 보호대를 착용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만약 손의 저림 증상까지 동반된다면 대표적으로척골신경의 압박 가능성이 있는데요. 잠을 잘 때 팔이 압박된다든지 팔을 과하게 구부린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때가 있다든지 등 신경이 압박되어도 통증이 나타납니다.팔꿈치가 압박되거나 과하게 구부러지는 동작을 피해주세요.보통 테니스엘보나 골퍼엘보는 체외충격파 치료가 효과적이라 많이 하고있구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형외과에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