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세사VS유통관리사2급 중 어느 시험이 난이도가 더 낮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보세사의 경우 합격률이 작년 기준 23.9% 로 시험 난이도가 조금 있는 편입니다. 반면 유통관리사 2급의 경우 보세사에 비해 합격률이 대략 30에서 40%로 높습니다. 다만 난이도에 따라 시험을 선택하기 보다는 원하는 직무에 적합한 자격증을 취득하시길 권해드립니다.2. 유통관리사 시험은 소비자와 생산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소비자 동향 파악 등 판매 현장에서 활약할 전문가의 능력을 평가하는 국가자격 시험입니다. 1급의 경우 유통분야에서 7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 등 응시자격에 제한이 있으나 2급과 3급은 제한이 없습니다.시험과목은 아래와 같으며, 매과목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이고 평균이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3. 보세사란 특허보세구역운영인(보세창고, 보세공장, 보세판매장 등)이 보세구역을 운영하기 위해서 반드시 채용하여야 하는 국가공인전문자격사를 말합니다.보세사 시험과목에는 수출입통관절차, 보세구역관리, 화물관리, 수출입안전관리 및 자율관리 및 관세벌칙이 있으며 합격기준은 매과목 100점 만점으로 하여 매과목 40점 이상, 전과목 60점 이상 득점하면 합격입니다.
Q. 중국 전자기기 통관인증에 유효기간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우선 전자기기를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물품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전안법")또는 전파법에 따른 인증대상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판매하려는 제품의 KC 인증여부는 1381 인증표준 콜센터에 문의하시면 됩니다.만약 KC 인증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제품 검사를 위해 샘플을 수입하고 KC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전안법에 따라 안전인증, 안전확인 또는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지정 인증기관으로부터 안전인증 등을 받아야 합니다. 반면 전파법에 따라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인증기관으로부터 적합인증, 적합등록 또는 잠정인증을 받아야 합니다.전기용품 안전인증, 안전확인 등 인증 수수료의 경우 품목별로 상이하므로 안전인증기관에 문의하시면 정확한 수수료 확인 가능합니다.안전인증의 경우 유효기간이 따로 없으며 안전확인은 5년이 유효기간입니다.
Q. 컨테이너 종류에는 어떤게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수출용컨테이너는 일반적인 컨테이너인 Dry Container와 Reefer Container(냉동 컨테이너), Open Top Container, Flat Rack Container, Tank Container, Hanger Container와 같은 특수 컨테이너가 있습니다.1. Dry Container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컨테이너로서, 공산품을 수출입할 때 사용됩니다. 드라이 컨테이너의 종류와 규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2. Reefer Container(냉동 컨테이너) : 냉장 및 냉동이 간으한 컨테이너로서,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는 물품(식품, 의약품 등) 운송 시 사용되는 컨테이너입니다. 3. Open Top Container : 천장이 개방된 컨테이너로 높이가 불규칙적인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됩니다.4. Flat Rack Container : 드라이컨테이너에서 천장과 양쪽 사이드 벽이 제거된 컨테이너로 크레인이나 트럭 등 중량이 큰 물품을 운송할 때 사용됩니다.5. Tank Container : 유류, 화학제품, 주류 등 액체 종류 운송 시 사용되는 컨테이너입니다.6. Hanger Container : 드라이 컨테이너 내부에 행거를 설치한 컨테이너로 고급 의류를 운송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컨테이너 규격과 자세한 설명이 잘 정리된 블로그가 있어 첨부하오니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foreignstudentss.tistory.co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