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아지 심장질환이 의심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14살 푸들이 몇 년 전부터 간헐적으로 켁켁거리고 심장 박동이 불규칙한 증상이 있다면 승모판막질환 같은 심장질환이 의심되므로, 현재 식욕과 컨디션이 좋아 보여도 심장질환은 서서히 진행되어 갑작스러운 악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빠른 시일 내에 병원에서 심장 청진, 흉부 X-ray, 초음파 등을 받아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Q. 북극곰은 빙하가 녹고 육지에서 어떤 방식으로 적응 중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빙하가 줄어들자 북극곰은 해빙 위에서 물개를 사냥하기 어렵게 되어 육지에서 생활하며 새알, 새끼새, 베리류, 해변의 고래 사체, 인간 쓰레기 등을 먹으며 버티고 있습니다. 다만,이러한 육지 먹이는 본래의 고지방 식단을 대체하기에 부족해 건강 악화와 번식률 감소를 초래하고 있고, 인간과의 갈등도 늘어나고 있어 완전한 적응이라기보다는 생존을 위한 임시방편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동물들도 집단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에 지능이 높아질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동물들도 개별 행동보다 집단으로 협력할 때 더 높은 수준의 지능적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개미, 꿀벌, 돌고래, 침팬지처럼 집단지능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생존 전략이 강화되지만, 인간처럼 언어나 문명을 이루는 고도의 추상적 지능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Q. 유전자 조작으로 모기를 박멸하려는 시도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유전자 조작으로 모기를 박멸하려는 시도에는 자손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불임 유전자 삽입(RIDL), 수컷을 불임화해 방사하는 멸균 수컷 방사(SIT), 특정 유전자가 자손에게 거의 100% 전달되게 해 불임 유전자나 기생충 저항성을 확산시키는 gene drive 기술, 그리고 Wolbachia 박테리아 감염으로 모기 번식과 바이러스 전파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특히 gene drive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윤리적 및 환경적 논의가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