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후위기가 피부로 느껴지는데요, 기후위기를 위한 협의체도 만들고 회의도 하는데요, 해결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기후위기가 계속되는 이유는 화석연료 의존, 국가 간 책임 불균형,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의 충돌, 시민들의 실천 부족 등으로 회의와 협의는 많지만 실질적인 실행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로 에너지 사용, 산림 파괴, 가축 산업, 과잉 소비 등에서 문제가 초래되고 있어 구조적인 시스템 전환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Q. 질병증가 산불의 발생, 러브벌레 출몰 등등 기후위기,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점인 것 같은데요,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산불, 질병 증가, 벌레 급증, 홍수 등은 모두 기후위기의 결과로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근본적인 대응과 함께 재난 대비 시스템, 생태계 보호, 저탄소 생활 실천, 정책 강화 등 감축과 적응을 동시에 추진하는 종합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