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창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전문가입니다.
박창민 전문가
경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생물·생명
3개월 전 작성 됨
Q.
익충이라고 해도 너무 많으면 해충이 될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익충이라도 개체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인간 생활에 불편과 피해를 주어 해충처럼 관리되는데, 러브버그도 썩은 식물을 분해하는 유익한 곤충이지만 대량 발생 시 차량 오염, 시야 방해 등 문제를 일으켜 해충적 측면을 가지게 되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3개월 전 작성 됨
Q.
강아지 링웜 정말 아닌건가요~?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진 속 강아지 피부병변은 링웜일 가능성도 있어 보이지만 병원에서 다른 피부질환으로 진단받고 곰팡이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면 증상과 양상을 종합해 판단했을 것이고, 그래도 불안하다면 다른 병원에서 진균배양검사를 받아 확실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3개월 전 작성 됨
Q.
우리몸에 있는 장내 유익균은 몇가지 종류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우리 몸의 장내에는 약 1000~1500종의 균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유익균은 500종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엔테로코커스 같은 다양한 균이 포함되며 사람마다 보유하고 있는 유익균의 종류와 비율은 식습관, 생활환경, 유전 등으로 달라집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3개월 전 작성 됨
Q.
내년에도 러브버그가 많이 출몰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는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개체 수가 증가하는 추세라서, 내년에도 올해처럼 기온과 습도가 높다면 많이 출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3개월 전 작성 됨
Q.
고양이 탈모?인가요??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진 속 고양이의 털 빠진 부위는 딱지나 상처가 없더라도 과도한 그루밍,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곰팡이 감염, 영양 문제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며칠간 상태를 관찰하고 탈모 범위가 넓어지거나 피부 변색, 가려움 증상이 나타나면 동물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훈련
3개월 전 작성 됨
Q.
집에 사람 있으면 밥 안먹는 강아지 어쩌죠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집에 사람이 있으면 밥을 안 먹는 강아지는 보호자에게 관심을 더 원하거나 자동급식기에 흥미가 없어서일 가능성이 크며, 해결을 위해 보호자가 있을 때 직접 손으로 급여하거나 옆에 있어주면서 먹는 행동을 칭찬해 긍정적으로 연관 짓고, 다른 강아지가 빼앗아 먹지 못하도록 분리 급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3개월 전 작성 됨
Q.
이거 강아지 발 종양인가요?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진 속 강아지 발의 혹은 사마귀, 피지샘종 같은 양성종양, 혹은 마찰에 의한 염증성 혹일 가능성이 있지만 발톱 주변 종양 중 일부는 악성일 수도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강아지가 계속 핥고 불편해하므로 동물병원에서 검진과 필요한 경우 세포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3개월 전 작성 됨
Q.
3살 아기 상악송곳니 및 사랑니 발치 후 재채기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고양이가 상악 발치 후 재채기를 하는 것은 치유 과정에서의 자극 때문일 수도 있지만 상악동과의 소통이나 염증 때문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콧물이나 피, 음식물이 코로 나오는 증상이 동반되거나 재채기가 계속되면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3개월 전 작성 됨
Q.
러브버그 외래종 곤충 계속 짝짓기하고 날아다니네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러브버그가 짝짓기를 한 채로 오래 붙어 다니는 것은 수컷이 교미 후에도 암컷과 계속 붙어 있으면서 다른 수컷이 교미하지 못하게 하고 자신의 유전자를 확실히 남기기 위한 본능적 번식 전략입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3개월 전 작성 됨
Q.
강아지가 소리를 잘 안내는거같아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강아지가 소리를 잘 내지 않는 것은 성격과 사회화 경험에 따른 정상 범위의 차이일 수 있으며, 하품이나 기지개 필 때 웅냥거리는 소리는 크게 문제 될 건 없습니다. 또한, 몸을 부비는 행동은 보호자를 좋아하고 애정을 표현하는 자연스러운 애교 행동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