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엿먹다가 이빨에 금으로 치료해논게 떨어졌는데 그대로 들고 치과가면 되나요?
4시에 올리신 질문이라 이미 치과에 다녀오셨을 수도 있겠네요. 그동안 잘 써왔던 크라운, 인레이가 탈락하면 당황스럼기도 하고, 이를 재부착 할 수 있는지 재제작해야 하는지 궁금증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탈락한 보철물의 치료방침은 치과의사마다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은 감안하시고, 제 의견을 드리겠습니다.탈락한 보철물은 왠만하면 재부착이 가능합니다. 그 동안 사용하던 크라운과 인레이는 이미 구강내에서 검증을 받은 상태이기에 재부착해도 잘 사용할 가능성이 확률적으로 높습니다. 살짝 내부에 변색이 생기거나 하는 정도는 재부착에 무리가 없습니다. 재부착의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진 후에 바로 치과를 내원해야 합니다. 빠지고 난 직후에는 다시 장착시 아주 잘 맞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몇일 지나면 치아가 옆으로 쓰러지거나 위로 이동하게 되면서 크라운이 잘 안맞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래서 충분히 재부착할 수 있었던 보철물도 시간이 몇일 지나면 부착이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있습니다.때로는 재제작도 필요합니다. 내부 충치가 심한 경우는 충치 치료를 하고 재제작 하는게 좋습니다.가끔은 금니가 떨어지면서 치아에 씹혀서 찌그러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경우에도 모양이 변형되기 때문에 재제작이 필요합니다.
Q. 어금니가 찬물에 닿으면 욱신욱신거려요
안녕하세요. 권순민 치과의사입니다.캐모마일 님이 쓰신 글안에 답이 있는 것 같습니다. 논리적으로 매우 잘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결론적으로는 이악물기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이가 욱신거리고 시릴 수 있는 원인은 상당히 많습니다.1. 충치가 심한 경우2.치아 마모가 진행된 경우3.산에 의한 부식이 심한 경우4.양치가 안되서 잇몸에 치태가 많이 싸이는 경우5.치아 뿌리가 노출된 경우6.치아가 금이 가기 시작하는 경우7. 차아에 강한 힘이 반복적으로 강해진 경우 8. 등등. 이 있습니다.3주전 치과에서 정기 검진을 받으셨기 때문에, 충치나 마모등의 원인은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저는 7번의 원인이 유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갈이, 이악물기가 심하거나, 단단한 음식을 너무 많이 먹거나 하면 치아진탕을 일으켜 치아가 시릴 수 있습니다.머리가 심하게 부딪치면 뇌진탕이 일어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대부분 이런 경우 일시적이기에 아픈부위 쪽으로 단단한 음식 저작을 피하고, 이가 꽉 닿지 않도록 신경써주시면 빠르게 회복됩니다. 위와 같이 조심하셨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시리시다면, 치과에서 다시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사랑니가 썩으면 충치치료를 해야될까요? 발치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권순민 치과의사입니다.사랑니가 정말로 똑바로 나고, 위아래 사랑니가 잘 물리고 있다면 충치치료를 해도 좋습니다.사랑니가 한쪽이 똑바로 나더라도, 반대편 사랑니가 삐뚤게 난다면 둘다 뽑는게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사랑니는 똑바로 나더라도 칫솔,치실이 접근하기가 어려워 깨끗하게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똑바로 났지만 관리가 잘 안된다면 발치하는 것이 좋습니다.사랑니가 똑바로 나더라도 너무 심하게 섞어 신경치료나 인레이 같은 치료를 필요로 한다면 굳이 치료하기 보다는 발치를 권해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