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6월 5일 작성 됨
Q.
일본어와 한국어의 발음이 비슷한 이유가 뭔가요??
1 같은 한자 문화권의 나라이며2 지역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교류가 자주 있었고3 일제강점기때 강제로 일본어를 교육하고 한국어를 금지하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문학
2024년 6월 5일 작성 됨
Q.
'마누라'라는 말이 원래는 높임말이었다고 하는데, 왜 요즘에는 낮추는 말처럼 쓰이게 되었나요?
언어의 뜻이 변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언어에는 사회성이 있으니까요. 마누라의 경우, 조선시대에는 계급사회가 있었으니 높임말로 사용되었지만조선이 망하고나선 그 단어를 쓰던 계급이 몰락했으니 뜻이 변한 것이라고 합니다 서양의 유명한 인종차별 단어인 니그로도원래는 학문적인 용어를 써서 덜 차별적이기 위한 단어였다가현재에는 인종차별용 욕으로 바뀌었죠
문학
2024년 6월 5일 작성 됨
Q.
왜 우리나라 영웅은 알에서 많이 태어날까요?
알에서 태어나는 난생설화는 전세계적으로 보이는 설화입니다태어나는 과정 자체가 특별하다는 건그 영웅의 특별함을 쉽게 강조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죠고대 중국 상나라의 왕 설 만주족의 시조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 등아시아 동북쪽 지역에서 자주 나타나긴 하지만그리스의 헬라나 처럼 전혀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설화가 있습니다이러한 난중설화가 생겨난 것에는실제로 가끔 태반이 터지지 않은채 태어난 아이는비닐 주머니에 쌓여있는 것 처럼 보이는데이게 고대인들에겐 알같았기 때문이란 주장도 있습니다
문학
2024년 6월 5일 작성 됨
Q.
가전체에서 소재로 쓰였던 사물에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딱히 소재 제한같은건 없었기 때문에 이론상 아무거나 가능했습니다만누룩(술), 돈, 종이, 지팡이, 김 같은 생활하면서 자주 볼 수 있는 사물이 주로 쓰였습니다
문학
2024년 6월 3일 작성 됨
Q.
멍청이와 멍청구리? 멍텅구리? 모가 맞는건가요?
멍청이가 원래의 단어멍텅구리는 뚝지라는 멍청한 얼굴의 물고기의 이름(즉, 이것도 표준어)멍청구리는 멍텅구리이의 제주도/전라도/충청도 사투리 입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