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 작품을 상호텍스트적 맥락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란 어느 한 문학 텍스트가 다른 문학 텍스트와 맺고 있는 상호 관련성을 뜻합니다쉽게 말해서, 세상 모든 글들은 자기가 알아서 만들어진게 아니라작가가 뭔가 다른 글을 읽고, 과거의 글을 교육받으면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모든 글(텍스트)들은 다른 작품과 서로(상호) 연결되어있다는 것이 바로 상호텍스트 입니다이에 따라서, 뭔가 글을 읽을때 이것이 다른 글과 어떤 식으로 이어져 있는 것인지 이해하는 것이바로 상호텍스트적 맥락에 따른 이해 입니다.쉬운 예시로어느 SNS에 'xxx(유명연예인)망했다ㅋㅋ' 같은 글이 올라왔는데그날 아침에 그 연애인이 체포되었단 속보가 올라 왔었다면그 기사를 읽은 사람이라서 저런 SNS를 쓴 것이라는상호텍스트 적 맥락을 알 수 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빵은 포르투갈어라고 하던데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온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16세기 일본이 포르투칼과 교류하면서 Pão를 パン으로 발음하며 받아들이기 시작했고(포르투칼어의 어원은 라틴어 'panis' 라고 합니다)이것이 그대로 한반도로 전파된 것입니다참고로 빵의 영어 단어인 'bread'가 전혀 다른 발음을 가진 것은게르만->독일어(Brot) 유래라서 라틴어계 발음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수저계급론적인 표현은 어디에서 나온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수저와 삶을 비유하는 표현은 정확한 시작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오래된 것입니다의식주는 생존의 기본욕구니까 그걸로 비교하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그래서 부자를 은수저'silver spoon'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귀족이 존재하고금과 은이 비슷한 가치가 있던 옛날의 유럽에서 부터 쓰이고 있었습니다.이 표현이 점차 확대 되 나무수저, 금수저 등 다양한 수저표현이 생겨났으며특히 1950년대 미국에서 크게 유행했었다고 전해집니다이것이 한국에 그대로 유입되어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 쓰이다가2010년무렵에 아예 '계급론' 이라며금,은,동,놋,플라스틱,흙 같은 가치순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인터넷발 밈이 대부분 그러하듯 정확한 창작 시점이나 창시자는 알기 어렵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전영택 작가의 소설 화수분은 제목의 의미가 내용이 정반대의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 모두 가능한 해석입니다작가가 무슨 정답지 같은 것을 공개한 것도 아니고결국 작품을 어떻게 소화할 지는 읽는이 본인이 정할 일이기 때문입니다다만, 결말이 희망은 있지만 비극적인건 분명하다는 점과문체가 객관적인 서술 위쥐의 사실주의적 문체라는 점 때문에반어법이라는 해석이 더 자주 나오곤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인간의 욕구 중 중간 단계의 욕구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은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생리적 욕구: 의식주를 비롯한, 살아 있기위해서 필요한 욕구2 안전욕구: 생리적 욕구의 불충족을 포함한, 죽음의 위기에서 자유로워지려는 욕구3 소속감/애정 욕구: 타인과 관계를 맺는, 사랑을 나누고 싶은 욕구4 존중욕구: 내외적인 인정을 받으며 높은 지위를 원하는 욕구5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극한까지 개발해 자신을 완성하길 바라는 욕구6자아 초월 욕구: 자신조차 넘어선 다른 무언가를 만들려는 이타적 욕구(예수나 부처의 경지)이중 6번은 매슬로우가 죽기 1년전에 추가했다고 전해지며, 평범한 인간은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많은 경우에서 무시되곤 합니다매슬로우의 이론은 사람의 동기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으로서 주목받으며'1,2가 물질적/ 3~6은 정신적이다' '1~4는 결핍을 채우려는 것, 5,6은 자신을 성장시키는 것'등 다양한 해석이 만들어 졌습니다하지만 과연 이 이론이 모든 이에게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비판은 지금도 제기되고 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나는 파리의 택시기사의 저자 홍세화작가는 어떤 작품들을 썼고 무슨이유로 파리에서 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고 홍세화 씨는 작가이자 정치인 이셨습니다6.25당시 국군에 의해 친인척 들이 학살되었단 사실을 뒤늦깨 알게 된 이후 좌파운동에 전념했는데무역회사에 취업해 프랑스에 파견되어 있던 도중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건이 일어나자 그대로 망명했습니다[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가 바로 이 시절의 이야기 입니다그 후 한국과의 연이 끊기는 듯 했으나다행히 1987년 6월항쟁을 계기로 민주화의 꽃이 피면서해외투고라는 방식으로 한국과 교류하다 2002년 1월 귀국,그후 여러 정치적,문학적 활동을 하시다 2024년 4월 18일 돌아가셨습니다택시운전사 이외의 작품으로는 에쎼이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자신이 프랑스에서 냈던 기사를 묶어 번역한 책인 [진보는 죽은 사상인가]등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재 우리글을 한글이라고 하는데 이 '한글'이라는 말은 누가 만들었고 어떤 뜻을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이 한글이 된 것은 일제시대 때의 일 입니다1908년 주시경(周時經)을 중심으로 세워졌던 ‘국어연구학회’는 일제의 탄압 때문에 여러번 이름을 바꿨는데1913년 4월에 바꾼 이름이 바로 ‘한글모’ 이것이 최초로 기록된 [한글]이라는 단어 입니다이 한글이란 이름이 정음의 대체제로써 본격적으로 쓰이게 된 것은1927년 한글사라는 출판사에서 펴낸 『한글』이라는 7인 합동 동인지 입니다다만 누가 잡지이름을 만들었고 무슨 뜻으로 한글이라고 한 것인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습니다‘한’은 ‘하나’,‘큰’ 또는 '바르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며 '한민족'의 한 이기도 합니다그래서 대'한'제국도 대'한'민국도 이름에 한이 들어가는 것이죠그래서 ‘한민족의, 한국의 글’이란 의미로 한글이라고 이름 붙인게 아닐까 하는 것이 정설입니다조선이 독립국일 때에는 '국어/국문'이라고 하면 정음을 뜻했지만일제의 한민족 억압 정책 때문에 국어가 일본어를 뜻하게 되어서이를 대체하는 의미로 한문(韓文)이라 칭하려고 했고이것은 중국문인 ‘한문(漢文)’과 발음이 겹치기 때문에 문(文)을 우리말로 바꾸어한글이 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흑역사'라는 표현은 어디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흑역사의 어원은 일본애니 건담시리즈입니다.시리즈 작품중 ∀(턴에이) 건담은 다른 작품보다 한참 미래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과거의 역사를 "끔찍한 전쟁 덩어리"라고 판단해 정치적으로 묻어버렸고그것을 흑역사라고 부른다는 설정이 있습니다그것이 현재의 나무위키의 전신인 '엔젤하이로위키'를 비롯한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검열된것, 알리고 싶지 않은 것 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점차 대중화 되었습니다그 결과 2010년대 무렵엔 아예 공중파 방송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현재에는 다큐멘터리나 정치계에서도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죽음을 의미하는 표현이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서양에도 그 문장 자체는 있습니다. 성경에 적혀있는 것이니까요성경에서 '요단강을 건너서' 약속된 축복의 땅인 이스라엘로 돌아가는 장면이 있어요하지만 동양에선 그런 축복의 땅은 실존하는 곳이 아니라 천국=사후세계 이며"삼도천을 건넌다"는 죽음을 뜻하는 강에 관한 표현이 이미 있기 때문인지장례식에서 부르는 찬송가에 요단강 언급이 많아서삼도천이 그대로 요단강으로 바뀌어 쓰이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슬람교를 한자로 回敎로 표기하는 것은 언제부터였고 그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회골/흘(回鶻) 지방에서 건너온 종교라는 뜻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중국에서 명나라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단어가 그대로 수입된 것이죠회골 지방이란게 그리스도인과 유대인도 있는 지방이라각각 십자회회(十字回回), 남모회회(藍帽回回)란 단어가 있었지만헷갈려서 그런건지 저 둘은 점차 다른 이름이 더 자주 쓰이게 되면서회회는 이슬람만의 명칭이 되었습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