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글을 쓸때도 형식이라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물론 있습니다운문(시)과 산문의 구분수필,소설,자서전 같은 분류그리고 맞춤법이나 단락구분도 형식이라 할 수 있죠특히 고전 시가들은 소네트,하이쿠,시조 등등 전세계적으로 특정한 규칙이 있던 시기가 있습니다하지만 현대 음악에서 프로그레시브락이나 미분음 처럼형식에 벗어난 시도가 많이 이뤄지듯 문학 또한 형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꾸준히 있기도 합니다
문학
2025년 2월 26일 작성 됨
Q.
법꾸라지라는 표현은 어디에서 처음 등장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그런 은어의 시작을 찾아내기는 힘든일입니다어디 기관에서 발표하는게 아니라 소문처럼 어디선가 만들어져 어느샌가 퍼져나가는 것이니까요일단 해당 표현을 구글검색 해 보면2015년 이전글 에서는 검색 되지 않으니'2010년대 쯤에 만들어졌다' 고 추측 할 수는 있습니다
문학
2025년 2월 25일 작성 됨
Q.
단어를 설명할 때 작은말, 큰말이라는 것이 있던데 작은말과 큰말은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단어가 그렇듯 여러가지 의미가 있습니다만그 둘을 짝지어서, 단어의 형식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같은 뜻의 단어 중에서 밝고, 경쾌한 것을 작은 말무겁고 큼직한 것을 큰 말 이라고 부르곤 합니다예를 들어찰싹과 철썩은 둘다 살을 때렸을 때 나타내는 소리를 뜻하는 의성어 이지만찰싹이 철썩보다는 더 가볍게 들리기 때문에둘 중에선 찰싹이 작은말이고 철썩이 큰말 입니다
문학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동시문학상에 응모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어디서 정보를 찾아보신 건지는 모르겠지만제가 검색해 보니 따로 첨부된 신청서 양식과 함께 보내라고 써져 있었고 다른 조건은 적혀있지 않았으니편한대로 쓰시면 될 듯합니다.만약 불안하시면 우편주소 밑에 문의처도 적혀있었으니 거기에 직접 물어보시면 됩니다대부분의 시 공모전은 편수 말고는 딱히 제한이 없습니다.시 한편은 종이 한장에 다들어가는게 보통이니까요
문학
2025년 2월 24일 작성 됨
Q.
영상 시나리오를 인공지능이 쓴것을 소설 등단하는데 넣으면 실격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물론입니다.현재의 인공지능은 어디까지나 기존에 쌓인 정보를 모아서 만드는 것입니다소재를 찾거나 대사 한두줄 정도에 도움을 받는 것이면 몰라도전부 인공지능에게 맞기면 그냥 표절 덩어리가 생길 뿐이에요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