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보통 일반적으로 수심 몇m라고할때 기준이 뭔지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의 높이는 바다의 평균해수면으로부터 측정하는데요. 우리나라는 인천 앞바다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산의 높이를 측정합니다. 바다의 깊이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밀물과 썰물을 관측하여 바닷물이 가장 많이 빠지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는데, 이를 ‘기본수준면(Datum Level)’이라 합니다.우리나라는 해안선과 해저지형이 복잡하고 많은 섬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석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의 폭이 해역별로 매우 다른데요. 전반적으로는 동해안에서 작고 서해안에서 큰 경향을 보여, 동해안을 기준으로 남해안은 평균 1.5 m, 서해안은 평균 3.0 m 아래에 위치합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올해 각 해역별로 서로 다른 기준면을 통합하여 하나의 면(面)으로 표현한 ‘연속기본수준면’을 구축할 계획인데요. 연속기본수준면과 최신 위성항법시스템(GNSS)이 연결되면 선박에서 실시간으로 해수면 높이를 알 수 있어 선박장비, 해양조사, 해양공사 등 관련 산업에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출처 : 바다 깊이는 어디서부터 잴까요? - 해양수산부 공식블로그
화학
화학 이미지
Q.  기후문제가글로벌문제인데요 지구온난화주범은 화석연료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77%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CO2)는 주로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거나, 산업 현장에서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할 때 배출됩니다. 또한, 자동차와 비행기 운행 등과 같이 인간 생활과 밀접한 곳에서도 상당량 배출되고 있습니다.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 지구 온난화의 주범, 온실가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흔히말하는 베타서비스라는게 뭘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베타 서비스(영어: Beta Service)란 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나 게임의 정식 버전이 출시되기 전, 프로그램 상의 오류를 점검하고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을 받기 위하여 정식 서비스 전 공개하는 미리보기 형식의 서비스를 말한다. 비슷한 말로 오픈베타(open beta) 또는 클로즈베타(closed beta)가 있는데, 오픈베타(open beta)는 베타 서비스를 누구나 테스트 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클로즈베타는 베타 테스터들에게만 공개되어 있다.출처 : 나무위키 - 베타서비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코끼리의 엄니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아(象牙)는 코끼리 상(象)에 어금니 아(牙) 자로, 코끼리의 코 양옆으로 길게 튀어나온 엄니를 가리킨다. 엄니란 "크고 날카롭게 발달하여 있는 포유류의 이"란 뜻으로, 치아의 해부학적 분류와 상관 없이 다른 치아에 비해 크고 날카롭게 발달한 동물의 치아를 일컫는다. 흔히 길다란 생김새 때문에 송곳니로 알거나 엄니라는 단어를 착각해서 어금니로 생각하기 쉽지만, 상아는 본래 앞니의 일종이다. 주로 나무껍질을 벗기거나 땅을 파서 무기염류나 지하수를 찾는 데 쓰인다. 상아는 꽤 튼튼해서 칼 같은 위력을 가지고 있어 유용한 무기가 되기도 한다.출처 : 나무위키 - 상아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파리의 독은 어떻게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해파리의 촉수에는 빽빽하게 독침 세포가 있다. 자포라고도 불리는 이 세포에는 방아쇠 같은 돌기가 있어 이 돌기가 어디에 걸려 눕혀지면 자동으로 세포 내부의 독침이 발사된다. 독침은 약 10밀리초(100분의 1초)만에 발사된다. 실제 해파리에게 쏘였다는 것은, 수천개의 미세한 독침 세포에 여러 방 찔렸다는 의미다. 간혹 촉수 한 줄당 한 개씩 독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니다. 영화 등에서 촉수가 '휘감기듯 달라붙는' 것이 해파리의 공격 방식인 것이다. 닿으면 닿는대로 그 범위의 독침세포가 몽땅 발사되며, 해파리에 쏘인 부위가 마치 채찍에 맞은 것처럼 붉은 선이 그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출처 : 나무위키 - 해파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행기가 지나갈때 고래소리는 왜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공기 소음은 강한 지향성을 가지고 있다. 항공기 동체 소음의 발생은 항공기 동체, 날개,조종면 장치와 랜딩기어 같은 외부 구조물에 공기가 흐를 때 발생하며, 날개나 조종면에 흐르는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다출처 : 한국교통연구원 - 항공기 소음 발생원인 소개
화학
화학 이미지
Q.  노화는 질병인가이 아니면 자연스런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각각의 세포는 태어날 때 이미 정해진 분열 한계횟수가 있다. 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그 핵에 들어있는 설계도인 유전자(DNA)를 복사해서 한 세트를 더 만들어야 하는 데서 비롯되는 현상인데, 그림 없이 말로 설명하긴 힘들지만 DNA가 복제되는 방법 자체의 문제로 인해 DNA 가닥의 한쪽 끝부분을 제대로 끝까지 복제해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말단 복제 문제(end replication problem)이라고 한다. 이 말단 복제 문제를 우회하기 위해 DNA에는 텔로미어(말단소립)라는 여분의 DNA 부분이 말단부위에 있다. 텔로미어는 없어도 되기 때문에 복제 과정에서 잃어버려도 상관 없으며, 세포는 텔로미어를 조금씩 소모하면서 자가복제를 한다. 하지만 텔로미어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포가 일정 횟수만큼 복제를 하고 나면 텔로미어가 모두 소진되어버리는데, 이 복제 한계 횟수를 헤이플릭 한계(Hayflick limit)라고 한다. 인간의 경우 약 60번이 헤이플릭 한계라고 하며, 60번 복제를 한 세포는 더 이상 복제를 할 수가 없어 사멸하게 된다. 60번밖에 복제가 안 되니 턱없이 모자라겠구나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복제되어 생겨난 세포도 복제를 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다시 말해서 한 개의 세포가 60개로 분열하는 것이 아니다. 최대 260(1.1529215×1018, 약 115경 2922조)개로 증식하는 것이다.이렇게 세포들이 하나둘 사멸하기 시작하면 인체에도 점차 거시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피부 세포가 보충되지 않으면 피부가 전체적으로 탄력과 부피를 잃어서 얇고 쪼글쪼글하며 축 쳐지게 되며, 근육량도 점점 줄어들며, 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해 정신적 능력도 점차 감퇴되어 간다. 또한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내분비, 외분비, 면역 등에 관여하는 기관들 역시 늙어, 소위 "기력"이 쇠하고, 성욕도 감퇴되며, 면역력이 낮아져 쉽게 병에 걸릴 뿐만 아니라 병에 걸린 뒤에도 잘 낫지 않고 회복도 느리다. 이런 식으로 죽음에 한발 한발 다가서게 되는 것이다.출처 : 나무위키 - 노화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수면시간이 긴 것보다 약간 짧더라도 숙면을 취하는게 훨씬 안 졸린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마나 자는 것이 건강에 좋을까? 성인 기준 적정 수면시간은 7~8시간이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 적당한 수면시간은 다를 수 있다. 보통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피곤하지 않고, 낮에 졸지 않고 생활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이 자신에게 알맞은 수면시간이라고 보면 된다.수면시간 못지않게 수면의 질, 즉 얼마나 깊게 잤는지도 중요하다. 만약 7~8시간 동안 충분히 잤는데도 개운하지 않거나 낮에 졸음이 쏟아진다면 수면의 질이 떨어진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평소 잘못된 수면 습관이 있다면 바로 잡고, 수면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치료를 받아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출처 : 국민건강보험 - 작은 습관 큰 건강 수면 부족이 질병을 부른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열기구는 어떤원리로 뜨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 원리는 공기를 열에 의해서 가열하게 되면 공기가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면서 공기의 부피가 커지면서 밀도가 작아 집니다. 그럼 그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찬 공기가 내려오게 되는데요. 이런 원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기구의 공안에 공기를 가열하면 그 가열된 공기가 위로 올라가거공을 그 공기가 들어 올리는 것입니다. 그렇게 일정 높이까지 올라가면 그 열을 유지하고 내려올때는 열을 조금씩 줄이면서 내려오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인터넷은 언제 만들어진 시스템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1950년대 영국의 크리스토퍼 스트라치는 컴퓨터끼리 네트워크를 구성해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특허를 신청한다. 이 아이디어는 컴퓨터 네트워크, 더 나아가 인터넷의 근간이 되었다. 1989년 3월, CERN의 소프트웨어 공학자 팀 버너스리 경은 CERN에서 인사 재배치 등으로 기존에 수행했던 실험 결과를 비롯한 각종 문서들이 유실되는 비율이 높은 것을 보고 이를 줄이기 위해 Information System: A Proposal을 제안하였다. 또한 여러 연구기관에 흩어져 있는 문서들을 체계화하여 전 세계의 대학 및 연구소들끼리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문서뿐만 아니라 소리, 동영상 등을 망라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문 열람 소프트웨어로 열람하는 방식을 생각해 내게 됐다. 이것이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의 탄생 배경이다. 한국에서는 1982년 5월 서울대학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구미 전자기술연구소가 TCP/IP를 이용하고 1200bps 전화선을 통해 연결한 SDN이 인터넷의 시초이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이지만 이것은 미국에 이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연결된 인터넷 망이었다. 그것도 자체 개발로. 그리고 이 연결을 주도했던 전길남(Kilnam Chon) 박사는 세계 인터넷 개척자 30중 한 명으로 인터넷 소사이어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출처 : 나무위키 - 인터넷
451452453454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