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수력발전은 어떤 원리로 전기를 발생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력발전이란 결국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서 운동에너지를 만들고 그 에너지를 가지고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좀더 전문적으로 이야기 하면 하천 또는 호소(湖沼) 등에서 물이 갖는 위치에너지를 수차를 이용하여 기계에너지로 변환하고 이것을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방식 입니다. 세부적으로 말하면 물이 높은곳에서 떨어지면서 그 낙하하는 물에 힘에 의해서 물속에 있는 수차라는 것이 돌아가고 수차의 축에 붙어있는 발전기가 돌아가게 되어 전기가 발생되어서 우리가 사용하는 것입니다.출처 : 수력발전이란 - 한국수력원자력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강암과 현무암은 어떻게 형성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무암은 마그마가 지표 가 까이에서 빠르게 식어서 만 들어진 암석입니다.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에 서 빠르게 식으면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의 크기가 작습니다. 화강암은 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서서히 식어 서 만들어진 암석입니다.현무암은 암석의 색깔이 어둡습니다. 표면에 크고 작은 구멍이 많이 뚫여 있 는 것도 있고, 구멍이 없는 것도 있습 니다. 맨눈으로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알 갱이의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화강암은 암석의 색깔이 밝습니다. 대체로 밝은 바탕에 검은색 알갱이가 보이고, 반짝이는 알갱이도 보입니다. 맨눈으로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알갱 이의 크기가 큽니다.출처 : Mirae N - 현무암과 화강암의 특징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조류 중에서 닭,오리가 별도 번식기가 없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닭은 어떻게 해서 매일 알을 낳을수 있는 것일까요? 대부분의 새들은 1년에 한 번씩해서 평균 4~5개 정도의 알을 낳고 부화를 시킵니다. 야생의 닭은 1년에 약 36개의 알을 낳습니다. 그런데 반면 집에서 키우는 닭의 경우는 많을때는 300개까지 알을 낳습니다.집에서 키우는 닭들이 왜 그렇게 많은 알을 낳게 된 것일까요? 그 이유는 사람에게 있습니다. 인간들이 닭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이용해서 매일 알을 낳도록 하는 것입니다.닭은 알을 부화시키고 새끼로 만드려고 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는 조류입니다. 그런데 닭이 알을 낳게 되면 사람들이 그 알을 가져가 버립니다. 그 때문에 부화를 하려고 하는 본능을 가지고 있는 닭은 부화를 위해서 또 알을 낳게 되는 것입니다.유전적으로 볼때 닭은 여름에 알을 낳습니다. 그런데 조명장치를 사용해서 끊임없이 여름인것 처럼 속여서 계속 알을 낳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런결과로 인해서 닭은 1년 내도록 대략 300개에 가까운 알을 낳을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출처 : 사이드스토리 - 왜 닭은 매일 알을 낳는 것일까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사는 나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나무는 파키스탄 카라코람에 있는 향나무로 1천4백67살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도 1천 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나무가 열세 그루 있다. 울릉도 도동의 향나무는 2천5백 년, 정선 두위봉 주목이 1천4백 년,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가 1천1백 년 묵었다고 추정한다. 학자들은 이런 나무들은 대부분 전설을 품고 있어 생물학적 나이보다 오래된 것으로 여긴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줄여 잡아도 이 나무들에는 수백 년 세월이 온전히 응축돼 있다. 출처 : 신세계백화점 매거진 - 오래된 나무가 전하는 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철갑상어는 상어가 아닌데 왜 철갑상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어는 연골어류지만 철갑상어는 경골어류로 상어와는 분류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어류입니다. 아열대, 온대, 아한대, 지역의 강 및 호수 그리고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해안선에 서식합니다. 최근에는 발견되지 않고 있지만, 우리나라 한강과 금강, 영산강 하구에서도 가끔 발견되었다고 해요~! 생김새는 길쭉한 몸에 비늘이 없으며, 몸길이는 보통 2~3.5m까지 자란다고 해요. 배 밑과 옆, 등에 톱니 모양의 단단한 비늘이 있어 철갑상어라고 이름이 지어졌다고 합니다. 뾰족한 주둥이에 네 개의 수염이 나 있으며 이 수염을 이용해서 물밑을 헤집으며 먹이를 찾습니다. 먹이는 주로 플랑크톤을 먹고 다 자라서는 바닥에 사는 작은 동물들을 먹고 자란다고 합니다.출처 : 한국수산자원공단 - 철갑상어가 상어가 아니라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다에 살고 있는 범고래의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범고래속의 유일한 종인 범고래는 1758년에 린네가 처음으로 분류하였다. 범고래는 참돌고래과의 35종 가운데 하나이다. 향고래가 향고래속에 유일하게 속하는 것처럼 범고래도 범고래속에 속하는 그 수가 많은 종이다. 고생물학자들은 범고래가 계통분화 없이 그대로 진화했다고 추측한다. 전 세계 해양의 범고래들은 3가지에서 5가지로 나뉜다. 서로 간의 차이는 큰 편이며 아종으로 구분하거나 심지어는 다른 종으로 여기기도 한다.출처 : 위키백과 - 범고래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필수 아미노산이라는 것은 어떤 개념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필수 아미노산(영어: essential amino acid)은 체내 수요를 충당할 정도로 충분하고 빠르게 생물체가 처음부터 합성할 수 없어서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이다. 모든 생물체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21가지 아미노산들 중 사람이 합성할 수 없는 9가지 아미노산은 페닐알라닌, 발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메티오닌, 류신, 아이소류신, 리신, 히스티딘이다.출처 : 위키백과 - 필수 아미노산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킹크랩은 게가 아니라고 하던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왕게(킹크랩)은 생김새와 달리 게와 같은 게하목이 아닌 집게에 속하며, 게화(carcinisation)의 가장 주된 예시 중 하나다. 게화란 단미하목에 속하지 않은 갑각류가 게의 형태로 수렴 진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건 다리 한 쌍이 퇴화되어 8개만 보이는 경우가 많다. 다리 10쌍 중 한 쌍은 작게 퇴화되어 게딱지 안에 숨어있어서 보이지 않으며 보행이 아닌 아가미 청소나 번식용도로 사용된다. 왕게의 상위 분류 역시 게와 같은 십각목이며, 한자어 그대로 '다리가 10개'라는 점에서 붙여진 이름이다.출처 : 나무위키 - 왕게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남극같은 혹독한 환경에 사는 곤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극한 조건에서 생존하는 톡토기도 있다. 남극에서 사는 톡토기는 글리콜 성분이 체액에 들어 있어 부동액 역할을 해 얼어 죽지 않고, 사막에서 사는 톡토기는 바짝 말라도 끈질기게 버티다가 비가 오면 수분을 흡수해 원상회복한다.출처 : 위키백과 - 톡토기이런 톡토기가 남극에서 적응하기 위해서 어떻게 진화 되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이 공전하는 주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인 태양도 우리 은하의 중심부 블랙홀(궁수자리 A*)을 기준으로 공전을 한다!태양의 공전 주기를 1은하년이라고 하고, 지구시간으로 2억 2500만 ~ 2억 5천만 년 정도이다. 굉장히 오래 걸리는 거 같지만 무려 초속 230 km라는 어마어마한 속력이다. 태양이 지금까지 46억 년 살았으니 최소한 18번은 우리 은하 중심 기준으로 공전을 마친 것.출처 : 나무위키 - 공전주기
471472473474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