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들 이가 언제부터 빠지기 시작하는 것일까요?
아이의 유치가 빠지는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유치는 보통 6~7세에 빠지기 시작합니다. 영구치는 유치가 빠지면서 만6세~만13세에 사랑니를 제외하고 모두 완성됩니다.아이의 젖니가 나고 당분이 있는 음식이나 과자를 먹는 시기부터는 치과에 가서 진료를 받고불소 도포를 주기적으로 했던 것 같습니다.불소 도포 시기는 치과 진료 시에 상담을 받아보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들 운동회에 가면 엄마 아빠들도 열심히 하나요?
유치원 아이의 운동회에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부모님의 성향에 따라서 다른 것 같습니다.하지만, 아이를 생각한다면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주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고집부리고 떼쓰는 정도가 점차 심해지면 어떻게 할까요?
고집 부리고 떼 쓰는 정도가 점점 심해질 때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줘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며 부탁을 하면서 마무리하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다시 손가락을 빠는 모습을 보일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손가락을 빠는 아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스트레스 완화, 자극을 통한 관심 끌기, 마음의 안정을 위해서라고 합니다.해당 행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아이와 스킨십을 많이 하고 아이가 손가락을 빨면 아이를 안아주거나 손을 잡아줍니다.손가락을 빠는 아이에게 손가락을 움직여야 하는 놀이 신체 놀이 등을 통해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밴드를 손가락에 붙여주고 손가락을 빨면 안되는 이유(치열 부정, 세균 감염 등)를 말해주는게 좋겠습니다.아이가 무료하면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빨 수 있으니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게 필요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욱 하면서 화가 올라올 때가 있는데요. 어떻게해야 올바른 아이 훈육이 가능할까요?
화가 올라올 때 어떻게 올바른 훈육을 할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화가 날 때는 그 자리를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심호흡을 한 후에 훈육을 시도하면 되겠습니다. 훈육을 할 때 나름대로의 원칙을 세우는게 필요합니다.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기보다는 차분하고 다정한 어투로 훈육하는게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우리아이가 잠을 안자요.. 어떻게 하면 수면 패턴을 잡을 수 있을까요?
첫째가 12시가 점어도 잠을 자지 않으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일단은 일정한 수면 패턴을 유지해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을 살펴보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훈육 후 아이가 심하게 울고 있다면,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아이를 훈육한 후에 아이가 심하게 운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훈육하는 이유를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ㅇㅇ가 밉고 싫어서 그러는게 아니라 ㅇㅇ 의 바르지 못한 말과 행동 때문에 그런거야. 아빠(엄마)는 우리 ㅇㅇ가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어'이렇게 말하며 다독여 주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부모와의 대화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소통해야 할까요?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가 대화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평소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 대화를 시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에게 읽어주는 책읽기와 녹음자료가 읽어주는 책읽기 중 무엇이 더 효과적일까요?
아이와 쌍방향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직접 책을 읽어주는 것이 아이의 정서발달에 좀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잠들기 전에 책을 읽어주는 것이 아이의 언어발달은 물론안정된 정서 형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 전 읽어주는 책은 아이들로 하여금 행복한 꿈꾸기를 할 수 있게 도와주며한글 공부와 언어 발달 등 학습 효과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잠자기 전 유아들에게는 베드타임 스토리가 꼭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해서 최소한 10세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책을 읽어줄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고집부리는게 강해진 아이는 어떤식으로 대해야 할까요?
아이가 고집이 세지니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고집을 피우지 말고, 너의 생각을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4664674684694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