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기 기저귀 떼는 시기는 보통 언제가 적절 할까요!
기저귀 떼는 적당한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배변훈련은 아이마다 개인차가 있기 마련입니다. 빠른 경우에는 18개월 후 부터 가리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4개월 전후로는 20%정도가 낮 소변을 가릴 수 있고 30개월이 되어야 80%정도가 소변을 가릴 수 있게 됩니다. 가장 좋은 것은 아이가 기저귀를 떼고 싶어하는 신호를 보낼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귀를 불편해 할 때,기저귀가 보송보송할때,혼자숨어서 응가를 할때,쉬,응아 한다고 표현할때,대소변 간격이 4시간 이상 벌어질 때 등을 잘 살펴보시고 시작하시면 됩니다.그리고 주로 여름에 시작하시면 가벼운 옷을 입혀서 쉽게 입고 벗을 수 있어서 도움이 됩니다.
Q. 4살 아이는 어떻게 놀아주면 되나요??
4세 아이와 어떻게 놀아줘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아이의 소근육 발달을 돕는 활동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하군요.가장 아이들이 좋아하는 놀이 중에 블록놀이가 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특히 작은 레고블록을 이용한 놀이는 좀 더 소근육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젓가락을 이용해서 콩 옮기기 놀이, 집게로 옮기기, 색종이접기, 가위질, 점토놀이, 색칠하기 등도 소근육발달에 도움이 된답니다. 운동과 감각을 통한 학습 방법을 통해 아이의 오감을 일깨워 주고주위의 사물들을 활용하여 체험 위주의 학습을 해 주는 것이 좋은데요.예를 들어, 그리기, 흉내 내기, 역할 놀이, 공 놀이, 악기 놀이 등이 도움이 됩니다.
Q. 아이가 책 읽기를 어려워 하는데 어떻게하죠?
아이가 책 읽기를 힘들어 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글밥을 처음부터 확 늘리지 말고차츰차츰 늘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반복적인 독서 습관이 아이의 읽기 능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요즘은 아이의 공부, 독서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서 텔레비전을 없애는 가정도 있다고 합니다.대신 그 공간을 책상과 책꽂이로 채워 서재로 꾸민다고 합니다. 아이가 공부를 할 때 아이 옆에 앉아서 책을 읽으면서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고 아이와 함께 동일한 책을 읽고 나눔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아이와 책을 읽고 나서 뒷이야기를 꾸며보거나 주인공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주인공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지 등의 대화를 나누면 좀 더 생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답니다.이런 활동들을 통해서 아이의 사고력 확장, 어휘력,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하는 것도 책읽기에 도움이 된답니다.여기에서 핵심은 아이가 책 읽기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Q. 아이가 배변훈련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이 무엇이 있을까요?
배변훈련을 할 때 주의할 사항은 무엇입니다. 기저귀는 빠른 경우에는 18개월 후 부터 가리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4개월 전후로는 20%정도가 낮 소변을 가릴 수 있고 30개월이 되어야 80%정도가 소변을 가릴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불편해 할 때,기저귀가 보송보송할 때, 혼자 숨어서 응가를 할 때,쉬,응아 한다고 표현할 때,대소변 간격이 4시간 이상 벌어질 때 등을 살펴보면서 시작하면 됩니다.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배변 간격을 맞추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30분마다 변기에 간다던가 화장실을 간다던가 체크를 합니다.-배변 훈련을 하기가 가장 좋은 시기는 아이의 옷차림이 가벼운 여름이라고 합니다.-아이가 "화장실이 가고 싶다", "대/소변이 마렵다"는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표현을 알려줘야 합니다.-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기관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일관성 있도록 접근해야 합니다. 아이가 실수했을 때 다그친다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Q. 아이 게임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 있을까요?
아이가 게임 중독에 빠졌는데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전자 미디어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따라서 아이로 하여금 텔레비전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또한 아이와 텔레비전 시청 시간이나 조건을 한번 짚고 넘어갈 필요는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