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과일도 당이라고 안좋다고 하는데 어느정도까지 아이에게 줘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과일 속의 과당은 과자나 간식류의 단당류나 액상과당보다 자연의 당이기에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지 않는 이상 건강에 문제되지는 않습니다. 아침에 사과, 그리고 하루에 두 세 번의 과일 섭취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니 염려 마시고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중이염도 전염성이 있나요? 아니면 합병증처럼 오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한번 중이염이 온 애들은 면역력이 떨어질 때 쉽게 중이염이 발생하곤 합니다. 중이염이 발생하면 항생제를 먹게 되고 항생제를 오래 먹다보면 장 속의 유익균도 함께 죽기 때문에 면역이 더 떨어져 또 중이염이 발생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중이염으로부터 완치되기 위해서는 면역 관리를 잘 해 주셔야 하는데요, 일단 염증이 잘 낫기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과 수면이 필요한데 특히나 비타민C 섭취를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오랜 기간동안 항생제를 복용해 왔다면 유산균을 통해 장 관리를 잘해주셔야 이러한 영양소들이 잘 흡수되고 면역에 도움이 되니 장 건강도 챙겨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육아우울증이 심해졌습니다. 어떡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얼마나 힘드실까요. 일단 아이와 분리되는 시간을 가지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여건이 되신다면 꼭 정기적으로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셨으면 좋겠습니다.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더라도 카페에 가서 커피를 마시거나 책을 읽는 등 소소하지만 평온한 시간을 보내시면서 잠시 떨어져 있으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만약 아이와 분리될 수 없는 여건이라면 최대한 아이를 측은하게 생각해보세요. 육아 우울증이라는 것이 하루 종일 내 의지가 아닌 아이의 요구와 필요로 생활하면서 수면욕, 식욕 등 기본적인 욕구가 채워지지 않다 보면 답답해지고 짜증이 나는 것인데 차라리 그냥 '이 아이는 내가 없으면 안되는 불쌍한 존재다'라는 측은한 마음으로 임하신다면 우울증이 완화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힘내세요!감사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8살 자녀, 너무 늦게 잡니다. 어떻게 교정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성장호르몬이 나오는 시간은 밤 10시~2시로 이 시간에는 깊은 잠을 자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늦어도 9시반에는 잠자리에 들어야 합니다. 12시에 잠이 들면 그만큼 성장 호르몬 분비가 적어지므로 성장이 저해될 수 밖에 없는데요, 우선 낮동안 충분히 햇빛을 쬐면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시고 밤이 되면 아이의 몸과 마음이 이완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일단 신체적으로는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해서 근육이 이완될 수 있게 해주시고 심리적으로도 긴장되지 않게, 편안하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자기 1시간 전에는 미디어나, 핸드폰 노출을 하지 마시고 차분한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잠자리에 들기 전에 칼슘이 든 우유 등을 마시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칼슘은 천연신경안정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 잠자리에서 다리와 발을 마사지해 주시면 긴장 완화와 숙면에 도움이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적당한 더러움이 아이의 면역력을 키우준다는데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여러 바이러스나 세균으로부터 노출되면서 아프기도 하고 그러면서 항체를 형성에 면역력이 생깁니다. 따라서 집도 너무 깨끗하기 보다는 적당히 더러운 환경이 오히려 아이들이 면역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더러운 환경에 노출하실 필요는 없고 외출했을 때 아이가 돌과 나뭇잎과 같은 자연물을 만지거나 물건을 만질 때 너무 통제하시고 못 만지게 하신다든지 그럴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기는 언제쯤 소금이 들어간 음식을 줘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14개월이면 조금씩 간을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보통 기관 생활을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간이 된 음식을 접하게 되고 집밥을 거부하고 맛 없어 하기 시작하는데 아이가 집밥을 잘 먹고 있다면 굳이 간을 더 추가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일단은 반찬이나 국을 만들 때 쓰는 육수 재료를 더 다양하게 해서 감칠맛이 나게 해주시고 어린이 간장이나 약간의 소금으로 간을 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28개월 남자아이 영어 노출 및 앞으로 교육이요ㅠ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어에 관심을 보이고 좋아한다면 지금처럼 계속 노출해 주시되 알파벳이나 파닉스와 같은 문자 교육에 앞서 소리 노출을 최대한 많이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소리 노출이 많이 된 아이들이 학습으로 영어를 받아들이게 되더라도 훨씬 이해도가 높습니다. 영어 유치원을 가게 되면 아무래도 한글 노출이 줄어들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집에서 한글을 그만큼 신경 써 주셔야 합니다. 영어와 같은 외국어 실력은 모국어인 한국어 실력이 바탕이 되어야 하기에 한글을 소홀히 해서도 안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반 유치원을 갔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한글은 한글대로 신경 써 주어야 하고 영어를 위해 들이는 절대적인 돈, 시간, 그리고 노력이 필요하기에 어디를 보내실지는 장,단점을 잘 고민해보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영어 유치원에 가지 않게 되더라도 미취학 시기에는 음원이나 영상, 또 그림책을 통해 최대한 영어에 대한 귀를 트여 놓고 말하기, 읽기 교육을 하신다면 훨씬 효과가 높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인사를 잘 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교육을 시켜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만약 쑥스러워서 인사를 안하는 것이라면 일단 아이가 인사하기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알아주시고 할 수 있는 것부터 천천히 할 수 있게 단계를 나누어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바로 '안녕하세요'라고 큰 소리로 먼저 인사하기 힘들다면 어른이 보이면 목례를 하게 하고 목례가 익숙해지면 소리내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해 보기 이렇게 단계 별로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어른이 먼저 인사해 주신다면 답을 하는 게 예의이기에 그 때는 소리 내어 '안녕하세요'라고 하기로 해보세요.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틀을 깨고 성장할 수 있도록 조금씩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들을 태권도나 운동 같은 거를 시키면 더 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확실히 운동을 하면 성장판을 자극하게 되고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꼭 태권도나 특정 운동을 배워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달리기나 산책하기 등도 충분히 운동 효과가 있고 정서적으로 좋은데 그 무엇보다도 놀이터 등에서 마음껏 뛰어노는 것이 정서적으로 가장 도움이 됩니다. 특정 운동을 배우는 것은 적어도 7살 이후에 배우시면 더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어린아이 조기 교육은 몇 살 정도부터 시작하는게 적당한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발달에 맞는 적기교육을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때 그때 발달상황에 맞게 알맞은 자극과 환경을 조성해주시고 아이가 가장 준비가 되어있을 때 최대한의 효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조기교육은 자칫 돈과 시간을 투자해놓고 학습에 대한 압박감과 부정적인 인식만 남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이웃이나 주변 아이와 비교하지마시고 우리 아이의 발달에 맞게 적절한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나가시길 추천해드립니다.감사합니다.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