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칭기스칸이 신뢰했던 8명의 장수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칭기즈칸 휘하의 사준 사구는사준 : 보로클, 보르추, 무카리, 칠라군사구 : 젤메, 제베, 수부타이, 쿠빌라이입니다.사준도 뛰어난 무장들이긴 하지만 전장에서의 활약도는 사구에 비해 조금 쳐지는 것이 사실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칭기즈칸을 오랫동안 모신 가신들이라는 점에서 무게감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이에 비해 사구는 그야말로 무장으로서 칭기즈칸 휘하에서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그중에서도 젤메는 칭기즈칸의 목숨을 구하기도 하는 등 수차례 공을 세웠던 인물로 가히 오른팔이라 할 수 있는 인물입니다.
Q. 고려말과 조선초에 특히나 왜구의 침략이 잦았던 건 어떤 이유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고려 말 조선초에 왜구가 극성을 부렸던 이유는다음과 같습니다.첫째, 일본의 국내 사정에 따른 일본내의 상황 변화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일본은 막부의 교체로 왕조가 남북으로 갈라져 서로 싸우는 남북조(1312 - 1392)의 혼란기를 맞았으며, 이로 말미암아 중앙의 통치권력이 지방에까지 제대로 미치지 못하였고 백성들의 생활은 극심한 곤경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원과 고려의 일본 정벌(1274, 1281년)이 비록 실패하였지만, 일본은 전쟁을 치루는 동안 백성들의 생활이 더욱 어려워져 있었구요.이러한 과정에서 일본내 불만을 가진 집단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고려와 일본과의 관계가 평화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고려에서 일본과 서로 통하는 것에 대하여 소극적이자 고려와 중국 연안을 침입하여 약탈과 파괴행위를 일삼기에 이르렀습니다.둘째, 일찍이 일본은 그 토산물의 진상과 그에 대한 사여의 형식을 통하여 고려와 교역을 하였는데, 이 형식을 빌어서 일본인은 부족한 물품을 반입해 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고려는 국내사정에 따라 이러한 교역을 중단하게 되었고, 일본인 특히 식량이 부족하였던 연안지역 사람들에게는 타격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필수품을 얻기 위해 비정상적인 방법인 약탈을 강행할 수밖에 없었습니다.마지막으로 고려 국내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과 국방력의 약화도 왜구의 침입을 가능하게 한 하나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Q. 한반도 2국가가 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한반도 2국가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첫째, 대한 민국에서 통일과 민족에 대한 영향력이 심각하게 약화되어 '2국가론'이 공식화될 경우 한반도의 분단체제가 완전히 승인되고 항구화해 버릴 위험성이 존재합니다.둘째, '2국가론'은 남북 간의 평화가 어느 정도 정착되고 상호교류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진행 되어야 하는데, 대립이 격화되고 단절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섣부르게 논의될 경우 오히려 대한민국의 여러 정치적 움직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