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식수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은 몇등급 정도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생물다양성과 환경의 관계는 매우 밀접합니다. 특히 환경오염에 대한 생물체의 반응은 매우 민감하여 환경오염원이나 생태계 파괴원인과 접촉하면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생물종은 환경에 적응하여 고유한 환경조건에서 서식할 수 있는데, 이렇게 환경의 상태나 변화를 대표하는 생물종을 지표종(indicator species)이라 합니다. 이러한 지표종을 이용하면 특정지역의 환경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도의 진단은 크게 이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이뤄집니다. 이화학적 방법은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을 통해 가시적인 측정치를 제공하고 비교적 측정하기가 간단합니다. 하지만 제한된 화학적 지표로 어떤 순간의 수질만을 측정하므로 환경요인의 변화가 심하고, 그 구조가 복합한 실제 자연수질을 평가하는 데에는 미흡한 점이 많습니다. 반면, 생물학적 수질평가는 그 수역의 수질을 종합적, 지속적으로 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가 화학적으로 분석하지 못한 미지의 오염물질에 대한 존재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또, 연간 평균수질뿐만 아니라 이전에 있었던 환경영향에 대해서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 주변의 개울과 강물 속에는 여러 가지 생물들이 살고 있는데 물속 생물들은 물의 청정함, 즉 수질에 따라 각각 사는 종류가 달라집니다. 깨끗한 물에 사는 생물, 더러운 물에 사는 생물들이 나눠지기 때문에 하천이나 강의 환경상태를 종합적으로 알려주는 살아있는 환경지표가 되는 셈입니다. 물속의 생물 중 지표종으로는 조류, 어류, 담수무척추동물 등이 있는데 특히 담수무척추동물은 종류에 따라 서식처가 매우 다양하고 이동성이 적어 오염물질에 대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습니다. 따라서 유기물이 주로 쌓이는 하천의 수생태를 대표하는 생물군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담수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 평가는 간이수질판정법을 이용합니다. 한국생물지수(KBI, Korea Biotic Index)를 비롯하여 ESB지수, 수생태건강성평가에 적용하는 한국오수생물지수(KSI지수), 한국저서생물지수(KBI지수), 그리고 수서곤충을 환용하여 환경변화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인 LOCOPEM 등이 간이수질판정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내수면 지표 어종 수질 등급 이화학적 검사 (BOD : mg/ℓ) 수질 지표 생물군은 아래와 같습니다.1)Ⅰ등급(1.0 이하): 산천어, 둑중개, 버들개, 열목어, 버들치, 금강모치, 등2) Ⅱ등급(3.0 이하): 꺽지, 자가사리, 쉬리, 퉁가리, 갈겨니, 은어, 돌고기 등3) Ⅲ등급( 6.0 이하): 잉어, 붕어, 뱀장어, 메기, 미꾸리, 미꾸라지, 동자개 등4) Ⅳ등급 (6.0이상~8.0 이하): 어떤 물고기도 살 수 없습니다. ●1급수용도 : 상수원수1급특징 : 가장 맑고 깨끗한 물로 냄새가 나지 않으며, 그냥 마실 수 있습니다. 물고기: 산천어, 열목어, 금강모치, 어름치 등●2급수용도 : 상수원수2급, 수산용수1급, 수용용수특징 : 맑은 냄새가 나지 않는 물로서. 그냥 마시지 못하고 수영이나 목욕을 할 수 있습니다.물고기: 라미, 쏘가리, 은어●3급수용도 : 상수원수3급, 수산용수2급, 공업용수1급특징 : 황갈색의 탁한 물이며, 바닥에 모래나 자갈이 깔려 있습니다물고기: 붕어, 잉어, 미꾸라지, 뱀장어●4급수용도 : 공업용수2급, 농업용수특징 : 심하게 오염된 물이며 물고기가 살 수 없습니다.●5급수용도 : 공업용수3급특징 : 심하게 오염된물 ● 담수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수질평가수질등급1급수2급수3급수4급수BOD(mg/L)1.0 이하3.0 이하6.0 이하8.0 이하오염수준오염이 없는 물로 간단한 정수과정을 거쳐 식수로 곧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수과정을 거쳐 식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영을 할 수 있습니다. 식수로 적합하지 않으며,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식수로 사용할 수 없으며, 오래 접촉하면 피부병을 일으킵니다. 수질지표 생물군플라나리아류, 가재류, 옆새우류, 하루살이류, 강도래류, 물날도래류, 광택날도래류, 멧모기류, 개울등애류 선충류, 강하루살이, 납작하루살이류, 쇠측범잠자리, 뱀잠자리류, 여울벌레류, 물삿갓벌레류, 등에류, 먹파리류 거머리류, 물달팽이류, 등각류, 개똥하루살이, 등딱지하루살이 실지렁이류, 깔따구류, 나방파리류, 꽃등에류 대표 지표종 그물강도래 뱀잠자리 물달팽이 깔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