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보이저 1호는 언제까지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 1호는 현재 지구에서 220억 킬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거리에도 불구하고 통신 장비를 포함하여 시스템과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작동하는 RTG가 여전히 있습니다. RTG는 플루토늄-238의 붕괴로 생성된 열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성하여 Voyager 1호가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고 지구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DSN(Deep Space Network)은 보이저 1호와 같은 심우주 탐사선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안테나 네트워크입니다. DSN은 수십억 킬로미터 떨어진 우주선으로부터 미약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명령 또한 잘 전송합니다. DSN은 Voyager 1호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그에 따라 안테나의 포인팅을 조정하여 Voyager 1호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요약하면 Voyager 1호의 RTG는 통신 장비를 포함한 시스템과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DSN(Deep Space Network)은 여전히 Voyager 1호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지구와 계속 통신할 수 있습니다.
Q.  지구에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 지구의 지표면인 지각은유라시아판, 아프리카판, 오스트레일리아-인도판, 태평양판, 남극판, 아메리카판의여섯개의주요판으로대분되며, 그외에도동남아시아, 필리핀, 동태평양, 카리프, 터키, 이란, 아라비아등여러개의소규모판들이있다. 이판들은맨틀상부, 대양지각, 대륙지각이한개의단위가되어전체가한방향으로매년1∼6 cm정도씩이동한다고알려져있다.[네이버 지식백과] 판구조론 [板構造論, plate tectonics] (지구과학사전, 2009. 8. 30., 북스힐)2.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판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행히 판의 가장자리가 아닌 좀 떨어진 지역에 위치함으로서 지진 발생 지역(불의 고리)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입니다. 3. 태평양판과 맞닿은 필리핀판, 오스트레일리아-인도판, 아메리카판 등으로 이어진 판의 경계선상인 환태평양조산대(일명 불의 고리) 지역입니다.4. 화산대, 지진대나 대규모 산맥들은 주로 판의 경계면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판들은 각기 다른 방향으로 1년에 몇 센티미터씩 이동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되고 있으며, 이 판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힘에 의해 한쪽 판은 다른 판의 밑이나 위로 치솟아 오르면서 판들의 경계면에서는 거대한 산맥이 생기기도 하고 또는 지각 불안정으로 화산활동이나 지진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히말라야 산맥은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부딪치면서 생성된 산맥입니다. 다음은 우리나라의 최근 자주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발생 이유에 대한 설명입니다.2000년이후한반도에서일어난820여건의지진을모두분석한결과경주에서서산에이르는곳에서규모3.0 이상의중대형지진이집중적으로발생한다는경주-서산지진벨트를확인하였으며, 이지진벨트는시간이갈수록지진발생주기가빨라지고강도도세지고있는상황이다. 분석대상820건중, 이중사람이느낄수있는규모3.0 이상의지진은158건특히피해가클수있는내륙형지진이40건인데, 그중절반이상이경주와서산을잇는벨트를따라나타난것이다.2003년10월- 충북당진3.62012년5월- 전북무주3.92016년9월- 경북경주5.1/ 5.81987년- 충북속리산5.21978년- 경북상주5.21978년- 충남홍성5.0 결론적으로 경주-서산벨트 아래에 있는 활성단층이 경주지진의 원인이었으며, 지난 주에 발생한 포항 지진의원인입니다. 현재 한반도 땅밑에는5 0여개의 활성단층 존재하며, 경주-서산벨트에 소단층 밀집해 있는상 황입니다.이와함께 경주에서 부산까지 세로방향으로 이어지는 양산단층이 겹쳐 최근 경주, 울산 지역지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잇는 것으로 분삭되고 있습니다.중요한점은 아직도 우리 한반도에 발견되지 않은 활성단층들이 존재하느냐 하는 문제이다.따라서 이와같은 사실들이 좀더 체계적으로 조사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Q.  신발끈이 자주 풀리는 과학적 이유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신발끈 매는 방법은 사소한 것 같지만 발과 발가락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이므로 무시할 수 없다.신발끈을 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꽉 조여 매는 법"과 "느슨하게 매는 법"의 2가 지로 나눌 수 있으며, 발모양, 신발의 형태, 경기종목, 기후 등에 따라 자신에 맞는 형태를 택 해야 한다.일반적으로 단거리에선 발과 신발의 밀착이 중요하므로 단단히 조여 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장거리에선 발이 편안하고 피가 잘 통해야 하므로 느슨하게 묶는 방법이 선호된다. 오버랩식 과 언더랩식은 각각 발을 단단히 고정시켜주는 단거리용과 발을 느슨하게 해주는 장거리용으 로 널리 사용되던 전통적인 방법이고, 명코치인 아서 리디어가 고안해낸 방법은 끈이 서로 엇 갈리지 않으므로 옥죄는 느낌이 없어서 발등이 높은 사람과 울트라 마라톤과 같은 장거리용으 로 좋다. 하지만, 발폭과 신발 사이에 여유공간이 생기므로 울퉁불퉁한 곳을 달리는 경우와 같 이 발의 좌우움직임이 많이 요구되는 경우엔 적합치 않다. 스프링식은 탄력적인 끈을 이용하 므로 적절한 안정감을 고려하여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평상시에 신고 벗기가 쉬우나, 발가락 부분이 조이고 발목부분이 느슨하여 대회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단대식은 신발 앞부분은 오버 랩식, 뒷부분은 언더랩식으로 하여 발가락부분은 느슨하게 발목부분은 단단히 조이기 위한 절 충안이며, 오버랩과 언더랩이 확실히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가운데에 매듭을 짓는 방법을 단 대식(2)라 부른다. 그러나 한번 매듭을 짓고 나면 풀기가 수월하지 않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오버랩식 : 구멍의 위에서 아래로 한칸씩 좌우로 엇걸려 매는 방법언더랩식 : 구멍의 아래에서 위로 한칸씩 좌우로 엇걸려 매는 방법리디어식 : 끈이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한칸씩 건너뛰어 평행하게 매어 나가는 방법스프링식 : 고무성분의 탄력적인 신발끈을 이용하여 신발끈이 풀리는 걸 방지하기 위한 방법단대식(1) : 신발 앞부분은 오버랩, 뒷부분은 언더랩의 융합형단대식(2) : 단대식(1)의 오버랩식이 언더랩식으로 바뀌는 가운데에 매듭을 만드는 방법
Q.  세상에 존재하는 별자리들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나이가 많은) 별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별자리 천문도를 얘기할때, 보통 1247년 제작된 중국의 ‘순우천문도’를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고인돌에 새겨진 별자리 흔적이 있습니다. 근거로...충북 청원군 아득이 돌판에는 북두칠성을 기준으로 용자리, 작은 곰자리, 북극성, 케페우스, ​카시오페아자리 등이 발견되고 있고, 경북 영일군 칠포리 농발재 고인돌에는 북두칠성 별자리가 뚜렷이 새겨져 있습니다.또 인근의 신흥리 오줌바위에는 W자, Y자형 별자리 그림이 나타납니다. 이는 한반도의 고대인들이 중국 천문학 이전에 들어오던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도 독자적인 천문 체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입니다.​옛사람들은 고인돌에 별자리를 새겨 넣은 것은 죽은 사람의 영혼이 별처럼 빛나기를 바라는 소박한 마음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Q.  드라이 아이스는 어떤 과학적 원리를 통해서 만들어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스크림이 녹지 않도록 냉장고에 넣어두거나 하는 드라이아이스는기체인 이산화 탄소를 저온에서 강하게 압축하면 고체가 되는데이 고체가 드라이 아이스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기체가 고체로 되었기 때문에상온에서 바로 이산화 탄소로 승화해 버립니다공장에서 이산화 탄소 기체를 저온에서 고압으로 압축시켜 만듭니다우선 기본적으로 기체,액체,고체는 분자사이의 거리, 또는 온도에 의해서 결정 됩니다. 첫번째로 압력에 따른 분자 상태에 대해 알아 봅시다. 분자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기체라고 볼 수 있구요. (같은 물질일때) 그 거리가 가깝다면 액체, 고체라고 볼 수 있죠. 따라서 어떠한 특정물질에게 압력이 가해졌을때는 기체에서 액체, 또는 액체에서 고체가 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온도인데요, 온도가 낮아지면 그만큼 분자의 E를 잃게 됩니다. 그러면 분자 운동이 줄어들게 될거구요 분자사이가 가까워지게 됩니다. 자 이제 고체 액체 기체의 조건을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이제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드라이아이스의 원리를 알아볼건데요. 질문자께서 드라이아이스의 어떤면의 원리를 궁금하신지 구체적으로 적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만.. 그러지않아서 제가 광범위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압,저온으로 만드는 이산화탄소의 고체형인데요. 여기서는 승화가 잃어나게 됩니다. *승화:기체가 고체 또는 고체가 기체가 되는 현상 드라이아이스(이산화탄소)는 대부분 승화가 잃어나는데요 그이유는 이산화탄소는 물론 고체,액체,기체가 다존재하지만 영하 56.4도 이상 31.1도 이하에서 5.14기압이상일때 가능하므로.. 액체를 만들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따라서 승화가 잃어난 다고 하는것이죠. 이제 드라이아이스에 내포된 모든 원리를 찾아보았습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