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플라스틱의 자연분해 기간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은 대부분 생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이는 지구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여러 가지 단점과 피해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습니다.​생태계 파괴: 플라스틱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자연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치며,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게 되면서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대기 오염: 플라스틱 쓰레기 소각 시에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와 유해 물질이 방출되며 대기 오염을 악화시킵니다.​자원 낭비: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 때에는 석유나 천연 가스 등의 유한 자원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자원을 낭비하는 것은 자원의 고갈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플라스틱이 분해 시간이 긴 것은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지속가능한 대안 제품을 사용하거나, 플라스틱 재활용 등의 노력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Q.  우주에서는 왜 우주복을 입어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을 보호하는 역할도 있고 산소통 때문도 있고 중력이 없어서 어디 연결해주는 역할 등 한답닌다.
Q.  조개에서 진주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진주는 조개 속에 들어있는 이물질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분비물로 감싸서 생기는 아름다운 물방울."저항과 고뇌"의 과정을 극복해서 탄생한 강함을 가진 보석입니다.또한 진주조개의 경우는 굴의 일종인데 외투막의 주름에 상처를 내고 미세한 알갱이를 심 어 두면 껍질의 안쪽을 치장하는 대신, 알갱이를 핵으로 하여 석회질이 동그랗게 뭉치 게 되어 진주가 형성됩니다.
Q.  인공위성은 어떻게 움직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국제 우주 정거장 ISS는 하루에 8번 해가 뜨고 해가 집니다. 지구의 자전속도는 1674km/h 정도 됩니다.지구의 반지름이 6400km이기 때문에, 원주를 구한 후 하루 24시간으로 나눠 보면 알겁니다. ISS는 지구의 자전 속도의 8배가 빠르다는 얘기지요.국제 우주 정거장의 속도는 13392 km/h 로,초속 3720 m/s 이며, 이 속도는 마하 10 정도 됩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국제 우주 정거장 ISS는 아마도 차세대 국제 우주 정거장인거 같군요.시속 27700 km/h 라면, 마하 22.6 정도 되는군요. 인터넷에 보니까 마하 18로 대한민국 상공을 지나가는 ISS를 천문대에서 촬영한 사진도 있던데요. 자, 이제 부터 답변 드릴게요.인공위성에도 분사 추진체가 있습니다.고체나 액체 상태로 만든 산소와 수소를 각각 탱크에 담아 놓고, 우주에서국제 우주 정거장을 조립을 하게 되죠.조립이 끝나게 되면, 지구 주위를 뱅글뱅글 돌아 줍니다.국제 우주 정거장의 고도는 대략 3만 km 정도되며,이 고도에서는 공기가 거의 없어 마찰이 아주 작거나 없습니다.지구 인력에 의해 고도가 낮아지면 분사체로 추진하여 가속해 주고,가속하여 고도가 높아 지면 분사체를 꺼주면서 궤도를 수정해 나갑니다.일단, 가속된 ISS는 속도가 줄지는 않습니다.따라서 계속 추진해 주게 되면, 계속 추진력을 얻게 되는데,한번 가속을 얻은 위성은 더 큰 가속력을 주어야 더 큰 속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즉, 마하 10까지 추진력을 얻었다면, 마하 10정도의 추진력을 더 해 주어서는속도가 더 이상 빨라지지 않고, 계속 마하 10만 유지하게 됩니다. 바로 관성때문이죠.현재 인류가 동원할 수 있는 최대 순간 가속력이 마하 22정도라고 들었습니다.최대 순간 가속력 한번만 내어 주게 되면, 그 이후에는고도만 맞춰 주고, 지구 중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어주는궤도에서 더 이상의 가속력 없이 궤도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다만, 상공 3만 키로라 해도 거의 진공상태이긴 하지만,소수의 공기분자들이 존재 하기 때문에, 한달 이상 운영하게 되면,마찰로 인해 고도가 좀 낮아 지는데, 이럴때, 가끔씩 궤도 수정을 해 줍니다. 위성이 지구 주변을 계속 돌 수 있는 이유는중력과, 원심력이 같은 지점(고도)를 위에 설명 드린대로 찾아 가는 겁니다.그렇게 되면 그 안에 있는 사람은중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완전 무중력 상태를 느끼게 됩니다.물론, 서서히 가속해 주는 것이므로, 가속할때마다 그 안에서는 가속력을 느끼게 되지만,가속력이 끝나면, 관성때문에 움직이고 있는것을 못 느끼게 됩니다.버스가 출발할때만 가속을 느끼는거랑 같은거죠.출발 후에 등속운동을 하게 되면, 관성 때문에 느낄 수가 없습니다.다만, 무중력 상태이므로, 모든게 둥둥 떠 다니죠.변을 볼때도, 화장실에서 벨트를 메고 볼일을 본다고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원운동에서 중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힘을 주게 되면대각선 방향으로 힘을 얻게 되지만, 계속해서 서로의 힘이 유지 된다면,대각,대각,대각-> 결국은 원운동을 하게 되죠.
Q.  백두산은 휴화산인데 언제든지 폭팔가능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폭발시기는 예측할 수 없는 겁니다그리고 한국이 피해액은 예상 6조원입니다화산재로 농산물 피해는 입을 수 있다고 합니다​​재난 시 필요한 물품을 검색해보면 됩니다​일본이 재난 관련 키트를 많이 파니 그것도 좋고요 ​재난은 아무리 예방하고 준비해도 과하지 않죠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