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에어컨을 키면 물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은 실내의 더운공기를 빨아들여 찬공기를 방출하고그 열은 실외로 보내는 장치입니다.그런데 더운공기를 찬공기로 만들때 공기중의 수증기가 온도가 내려가면 포화수증기압이 낮아져서 그 차이만큼의 수증기가 물이되어 방출되는 겁니다. 더운곳에 있다가 갑자기 찬곳으로 이동하면 안경에 김이 서리는 이치와 같습니다. 또한 원래 에어컨은 캐리어란 사람이 습도를 낮추는 기계를개발하다가 만들게 된 것입니다.
Q.  중력의 수치가 9.8인건 어떤과정을 통해 증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 힘과 가속도[F = ma]유명한 식이죠.힘 = 질량 * 가속도[해석]-> 어떠한 질량이 특정크기의 힘을 받으면 특정한 가속도로 운동한다.-> 특정질량이 특정 가속도로 운동하고있다면, 그 물체는 특정한 크기의 힘을 받는것이다.-> 어떠한 물체에 특정크기 힘을가했더니 특정한 가속도로 움직인다면 그물체의 질량은 계산될수있다.뭐, 이정도로 해석할수있겠네요.2. 만유인력법칙[만유인력법칙]질량이 있는 물체들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존재하는데, 이 크기는 두물체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두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한다.3. 님의 질문에 대한 답.질량이 있는 물체가 지구상에 있다면, 지구와 그 질량이 있는 물체사이에는 위에서 말한 [만유인력법칙]에 의한 인력이 작용합니다.물체의 입장에서 보자면, 그물체를 지구가 잡아당기는 겁니다.이를 우리는 흔히 중력이라 말하지요. 또는 무게라고 표현을 하고요.자, 그럼, 위에서 말한 [뉴턴의 운동법칙]에서처럼, 물체에 힘이(중력이)작용하니깐, 특정한 가속도로 움직이겠죠? 이 가속도는 물체를 낙하시켜보면 알수있습니다. 점점 속도가 빨라지죠. 그리고 실험을 해보면 알겠지만, 속도가 빨라지는 속도(가속도)는 일정하답니다. 이를 우리는 "중력가속도"라 부르지요.그리고 교과과정을 통해 배우셨겠지만, 중력가속도는 지표면에서 약 9.81m/s^2입니다.그럼, 다 나왔죠?뉴턴식에서 힘 = 질량*가속도 라 했구..이 힘의 원천은 지구와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이고이 만유인력을 중력이라 부른다구 했고그럼, 중력을 계산하려면.. 물체의 질량에다가 가속도를 곱하면된다.!!예를 들어보죠.질량.. 50kg인 사람이 받는 중력의 크기는?답) 50kg*9.81m/s^2 = 약 490NN은 힘의 단위입니다.그리고, 흔히 1Kg이 받는 중력의 크기를 1Kg중 이라고 부르죠.1Kg은 질량을 나타낸말이고.1Kg중은 무게 즉, 중력을 나타낸 말입니다.
Q.  우주인들이 입는 우주복에는 어떤 기능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복의 기능◎ 선외 (우주선 밖에서 입는) 우주복선외 활동 우주복은 우주 진공상태, 그리고 고온과 저온에서 신체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 헬멧 : 산소공급, 전등과 TV카메라 장착, 외부충격을 보호하는 역할* 상의 : 견고한 상의라 불리우는 우주복 상의는 유리섬유와 강철로 만듬.우주비행사의 가슴, 등, 어깨 등을 보호하며, 등쪽에 「생명유지장치 배낭」이 부착.* 하의 : 허리와 무릎 + 신발 부착. 고무와 절연재료로 만듬.* 휴대용 생명유지장치 배낭 : 산소와 베터리, 급수장치가 담겨 있으며, 우주선, 우주정거장, 지상관제소와교신할 수 있는 두 개의 무선통신 장비가 있다.*액체 냉각통풍 의복 : 스판 텍스 재질의 긴 속옷 한 벌◈ 발사와 귀환시 입는 우주복이 우주복은 사고가 일어났을 때 구조대원이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밝은 오랜지색을띠고 있다.- 다리에 딱 맞게 제작된 특수복으로 피가 정상적으로 순환하도록 도와 준다.(피가 발목으로 쏠리지 않고, 머리에도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줌)* 평소 우주선 내부에서는 편안한 복장으로 생활을 한다. ◈ 우주복의 소재◎외부에서 오는 유성의 충돌에서도 신체가 큰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내복 3겹과 22겹의 외복으로 구성되어 있고 급격히 떨어지는 외부 온도에도 얼어 죽지 않을 수 있도록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우주복의 외피는 방탄조끼를 만드는 소재로, 작은 총알과 같은 미소 운석으로부터 우주비행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복은 우주비행사의 체중에 맞추어 제작이 되나 (87~127㎏ 정도.), 우주에서는 무게를 느낄 수 없으며(달에서는 14kg정도의 무게가 나간다.), 우주복 장비들을 갖추어 입은 우주비행사는 우주선 밖에서 8시간 정도 작업할 수 있다.◎헬멧에 붙어있는 보호유리는 플라스틱의 일종인 「렉산」으로 투명하게 제작한다.
Q.  우주의 플라스마는 무엇을 말 하는건지 궁굼 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대부분은 빈 공간입니다.빈 공간이 아니라 우리가 볼 수 있는 물질의 99%가 플라즈마라 할 수도 있겠죠 (항성들이 많은 질량을 차지하니)그리고 또한 물질 중에서도 관측이 불가능한 암흑 물질이 굉장히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죠. 이것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습니다.우주의 온도가 낮다고 하는 이유는 일단 앞에서 말했듯이 빈공간이 대부분이므로 아무리 특정 물질의 온도가 높다고 해도 평균적으로는 거의 절대영도에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또ㅡ 우주배경복사 (빅뱅 이후 우주의 가장 먼 곳에서부터 오는 마이크로파) 를 분석한 결과, 그 온도가 약 3켈빈 (-270도)로 확인되었다 합니다.또ㅡ 현재는 저온플라즈마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플라즈마는 정의에 의하면 꼭 높은 온도에서 존재하지 않아도 되고, 단지 이온화된 가스일 뿐입니다.그러니 우주의 온도가 높다고 하는 것은 빅뱅 직후의 일이라고만 볼 수 있지 않을까요.
Q.  용암이 굳으면 밀도가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단연히 용암이 녹아있는 액테상태라서 고체로 변하면서 다룬 분자들과 합성울 하여 밀도가 노 아집니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