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력의 수치가 9.8인건 어떤과정을 통해 증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 힘과 가속도[F = ma]유명한 식이죠.힘 = 질량 * 가속도[해석]-> 어떠한 질량이 특정크기의 힘을 받으면 특정한 가속도로 운동한다.-> 특정질량이 특정 가속도로 운동하고있다면, 그 물체는 특정한 크기의 힘을 받는것이다.-> 어떠한 물체에 특정크기 힘을가했더니 특정한 가속도로 움직인다면 그물체의 질량은 계산될수있다.뭐, 이정도로 해석할수있겠네요.2. 만유인력법칙[만유인력법칙]질량이 있는 물체들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존재하는데, 이 크기는 두물체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두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한다.3. 님의 질문에 대한 답.질량이 있는 물체가 지구상에 있다면, 지구와 그 질량이 있는 물체사이에는 위에서 말한 [만유인력법칙]에 의한 인력이 작용합니다.물체의 입장에서 보자면, 그물체를 지구가 잡아당기는 겁니다.이를 우리는 흔히 중력이라 말하지요. 또는 무게라고 표현을 하고요.자, 그럼, 위에서 말한 [뉴턴의 운동법칙]에서처럼, 물체에 힘이(중력이)작용하니깐, 특정한 가속도로 움직이겠죠? 이 가속도는 물체를 낙하시켜보면 알수있습니다. 점점 속도가 빨라지죠. 그리고 실험을 해보면 알겠지만, 속도가 빨라지는 속도(가속도)는 일정하답니다. 이를 우리는 "중력가속도"라 부르지요.그리고 교과과정을 통해 배우셨겠지만, 중력가속도는 지표면에서 약 9.81m/s^2입니다.그럼, 다 나왔죠?뉴턴식에서 힘 = 질량*가속도 라 했구..이 힘의 원천은 지구와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이고이 만유인력을 중력이라 부른다구 했고그럼, 중력을 계산하려면.. 물체의 질량에다가 가속도를 곱하면된다.!!예를 들어보죠.질량.. 50kg인 사람이 받는 중력의 크기는?답) 50kg*9.81m/s^2 = 약 490NN은 힘의 단위입니다.그리고, 흔히 1Kg이 받는 중력의 크기를 1Kg중 이라고 부르죠.1Kg은 질량을 나타낸말이고.1Kg중은 무게 즉, 중력을 나타낸 말입니다.
Q. 우주인들이 입는 우주복에는 어떤 기능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복의 기능◎ 선외 (우주선 밖에서 입는) 우주복선외 활동 우주복은 우주 진공상태, 그리고 고온과 저온에서 신체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 헬멧 : 산소공급, 전등과 TV카메라 장착, 외부충격을 보호하는 역할* 상의 : 견고한 상의라 불리우는 우주복 상의는 유리섬유와 강철로 만듬.우주비행사의 가슴, 등, 어깨 등을 보호하며, 등쪽에 「생명유지장치 배낭」이 부착.* 하의 : 허리와 무릎 + 신발 부착. 고무와 절연재료로 만듬.* 휴대용 생명유지장치 배낭 : 산소와 베터리, 급수장치가 담겨 있으며, 우주선, 우주정거장, 지상관제소와교신할 수 있는 두 개의 무선통신 장비가 있다.*액체 냉각통풍 의복 : 스판 텍스 재질의 긴 속옷 한 벌◈ 발사와 귀환시 입는 우주복이 우주복은 사고가 일어났을 때 구조대원이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밝은 오랜지색을띠고 있다.- 다리에 딱 맞게 제작된 특수복으로 피가 정상적으로 순환하도록 도와 준다.(피가 발목으로 쏠리지 않고, 머리에도 흐를 수 있도록 도와줌)* 평소 우주선 내부에서는 편안한 복장으로 생활을 한다. ◈ 우주복의 소재◎외부에서 오는 유성의 충돌에서도 신체가 큰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내복 3겹과 22겹의 외복으로 구성되어 있고 급격히 떨어지는 외부 온도에도 얼어 죽지 않을 수 있도록 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우주복의 외피는 방탄조끼를 만드는 소재로, 작은 총알과 같은 미소 운석으로부터 우주비행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복은 우주비행사의 체중에 맞추어 제작이 되나 (87~127㎏ 정도.), 우주에서는 무게를 느낄 수 없으며(달에서는 14kg정도의 무게가 나간다.), 우주복 장비들을 갖추어 입은 우주비행사는 우주선 밖에서 8시간 정도 작업할 수 있다.◎헬멧에 붙어있는 보호유리는 플라스틱의 일종인 「렉산」으로 투명하게 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