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Q.  로터리엔진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로터리엔진은 말그대로 원형 엔진입니다..윗분이 이야기 하셨던 성형엔진은 옛날 제트엔진이 나오기전에 비행기에서 썼던엔진이구요..조금 착각하신거 같군요..로터리엔진의 핵심은 로터입니다.. 이놈의 로터가 돌면서 흡입 압축 폭발 배기를 하는데요..적절한 그림이 제머리속에만 있어서.. 아마도 인터넷에서 능히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간단히 설명하면 삼각형처럼 생긴 로터가 돌면서 밸브가 열리고 흡입공기가 들어와서 동시에 압축을 합니다.. 그리고 폭발하고 배기하고.. 어째보면 정확하게 행정이 구분되지 않는것처럼 보이기도 하지요..로터리 엔진의 핵심은 역시 로터입니다.. 이 엔진이 달려 유명한 차가 RX-7이라는 차인데요...배기량은 프라이드와 같은 1300시시입니다..그런데 출력은 256마력인가 그렇지요.. 65마력인가..ㅡㅡ;;여튼... 로터리엔진의 가장큰 특징은 저 배기량으로 고출력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그렇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연비가 아주 안좋다는것...오너분들이 그러던데.. 진짜 잘나오면 7키로 안나오면 2키로 대라는군요.. 디아블로가 5키로대라던가...ㅡㅡ;;;참고로.. 650 시시 로터리 엔진이 두개가 붙어있는 형식입니다.. RX-7의 엔진은요...그런데.. 우리나라의 낮은 옥탄가 연료를 쓰면 로터가 깨진다는군요.. 노킹맞아서...그래서 고급휘발유가 유행하기도 했죠... 엔진 룸 열어보면 의외로 텅텅 비어 있는 느낌을 받습니다..로터리엔진의 장점이기도 하죠....단점이라면 노킹에 약한게 단점이고.. 연비도 안나오고...우리나라에서는 부품 수급하기가 힘든것도 있습니다.. 그나마 요새는 많이들 타셔서 부품이 그럭저럭 있는 편이긴 하지만요...
Q.  싸이클이 일반 자전거보다 빠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속도가 빠른 데엔 페달이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싸이클 자전거 같은 경우엔 일반 자전거보다 중력이 더 쎕니다
Q.  경비원들이 사용하는 무전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송신(송신기) : 마이크로 들어온 소리를 전파로 바꿔서 안테나를 통해 공간에 방사한다.수신(수신기) : 공간을 통해 안테나가 받은 전파를 소리로 바꿔 스피커를 통해 듣는다.송신기와 수신기가 따로지만 통상 송, 수신기를 합쳐 무전기로 만듭니다.​ 휴대용 무전기(트랜시버, 송.수신기)​ 차량용 무전기(트랜시버, 송.수신기)​ 거치형 무전기(트랜시버, 송.수신기)​ 수신기(리시버)
Q.  3D영화관은 어떻게 해서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림의 선과 같이 길이만 존재하는 세계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을 표현할 때 1차원이라한다. 그림과 같은 사각형이 있다고 하자 이 사각형은 선에서 발전하여 어떠한 넓이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넓이를 가지고 있는 면을 우리는 2차원이라 한다. 이러한 1차원, 2차원의 세계는 우리 눈에 실제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마음속으로 그려 볼 수는 있다. 왜냐하면 우리 눈에 보이는 세계는 모든 것이 3차원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면 3차원이란 무엇일까? 3차원이란 넓이를 가지고 있는 면에서 한단계 더 발전하여 깊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1차원이나 2차원을 볼 때는 한쪽 눈으로 보나 두눈으로 보나 보이는 내용에 있어서 별 차이가 없다. 하지만 3차원의 세계는 선과 면 이외에 깊이가 있어 한쪽 눈으로 볼 때와 두눈으로 볼 때는 상당한 차이가 나게 된다. 입체란 이렇게 가로, 세로, 높이 세 개가 어우러져 이루는 모양이 된다. 2) 입체를 보는 시각한쪽 눈으로 물체를 바라보면 모든 물체는 입체라는 잠재의식의 작용으로 입체로 생각될 따름이지 실제 입체로 보이는 것은 아니다. 모든 동물은 두개의 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체라는 개념이 생겨나고 또 입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두눈의 작용으로 입체를 보는 시각 입체로 본다는 의미는 물체와의 거리감이 직감적으로 느껴진다는 것이 내포된다. 그림과 같이 양손에 연필을 잡고 팔을 벌렸다가 서서히 안쪽으로 오무리면서 양 연필 끝이 맞닿는 실험을 하여 보면 한쪽 눈과 두 눈의 거리 감각작용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실험시에 양손과 몸과의 거리를 적당하게 유지하여야 한다(처음에 너무 내뻗거나 오므리면 실격) 한쪽 눈의 거리감각 실험 3) 입체영화는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가?보통의 영화는 앞에서 말한 한쪽 눈으로 보는 것(영화 촬영시에 한대의 촬영기로 촬영하는 것)과 같이 거리감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인데 반하여 입체영화는 화면과의 거리는 느껴지지 않고 오직 화면에 구성되어 있는 영화장면이 마치 창을 통하여 보고 있는 것처럼 완전한 거리감이 생기게 된다. 입체영화를 촬영하려면 두대의 촬영기로 우리 눈이 양쪽 눈으로 물체를 바라볼 때처럼 좌 우 동시에 촬영을 한다. 촬영한 두개의 필름은 그림과 같이 좌 우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 두 장면의 그림 사이에 검은 종이를 세우고 왼쪽 그림은 왼쪽 눈으로 오른쪽 그림은 오른쪽 눈으로 동시에 보게 되면 입체로 보이게 된다. 왼쪽과 오른쪽 각각의 눈으로 본 모양 촬영된 필름을 어떻게 왼쪽 눈 따로 오른쪽 눈 따로 볼 수 있을까? 일반 입체영화에서는 빛의 성질 중에서 편광이란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빛은 사방으로 진동하면서 진행하다가 편광물질을 지나게 되면 한 방향으로만 진동을 하게 되는데 진행 도중 현재의 진행?향과 직각으로 놓인 편광물질을 만나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게 된다. 영화의 영사기 앞에 편광판을 삽입하면 그 편광판의 편광?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이 영사 스크린에 비춰지게 되는데 그와 직각방향의 편광안경을 착용하고 보면 보이지 않고 영사기의 편광판과 같은 방향의 편광안경으로 보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영사기와 안경에 편광판을 설치 함으로써 좌우 두 눈은 틀린 영상을 볼 수 있다. 입체영화 화면의 원리 4) 매직아이(Magic-Eye)란?매직아이는 외국에서 붙여진 입체그림의 이름이다. 원칙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입체그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입체그림도 입체영화의 원리와 같지만 영화는 부담감 없이 입체감을 즐길 수 있는 반면 그림은 그 원리를 이해하고 눈의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 두눈으로 물체를 바라 볼 때 거리감(遠近感)이 느껴진다고 하였는데 이 거리감을 느끼는 원리는 그림과 같이 하나의 물체를 두눈으로 볼 때 물체와 두눈과 이루는 각도가 크면 가까이 있는 물체이고 작으면 멀리 있는 물체이다. 두눈이 물체를 보는 각도에 의한 거리 차 매직아이를 자세히 보면 여러 개의 중복된 그림이 겹쳐져 있는데 같은 그림의 거리간격이 멀면 위로 떠 보이고 간격이 가까우면 뒤로 떨어져 보이게 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우리들도 입체그림을 만들어 볼 수가 있는데 중요한 점은 같은 그림의 거리 간격이 일정하고 모양이 합동이 되어야 한다. 만일 거리 간격이 일정치 않으면 같은 그림이라도 앞뒤로 들쭉날쭉 하게 된다.
Q.  차량 연료(가솔린, 디젤)은 서로 출력이 다른 이유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회전수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폭발을 자주 하겠죠​디젤이 토크가 높은 이유는 폭발이 적지만 한 폭발을 크게 하기 때문인 것과 비교해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쉽게 말해 디젤은 적게 쾅! 쾅! 하니 힘이 센것이고​가솔린은 폭발의 힘은 적지만 빠르게 회전하여 많은 폭발 캉캉캉캉 식으로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회전이 빠르니 크랭크축도 더 빨리 돌겠죠
3013023033043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