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동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동선 전문가입니다.
유동선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건강관리
학문
생물·생명
2022년 8월 18일 작성 됨
Q.
사람의 민감한 부위에 털이 몰려있는 이유
안녕하세요.유전적으로 진화의 산물입니다 주변환경에 적응하고 좀더 발전적으로 진화하는것을 고려해보면 털이 보다 필요한곳에 더생기는 것이겠죠 겨드랑이의 경우 몸통과 팔의 마찰로 인한 피부손상 완화, 중요부위의 경우는 먼지나 세균등으로부터 오염방지를 위한 목적이 큽니다답변이 되었나 모르겠네요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14일 작성 됨
Q.
모든 별에는 중력이라는게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유동선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은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에 존재합니다 당연하게도 모든 별뿐만 아니라 화성 목성같은 행성에도 각 중력이 존재합니다 사과가 나무에서 떨어지는 이유는 지구의 중력을 받아서 떨어진것이지만 사과도 지구를 끌어당기는 힘이 있습니다 그힘이 워낙 미비해서 고려할가치는 없지만요 좋은 답변이 되었나모르겠네요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비오는 날엔 집안 냄새 환기가 잘 안된다는데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유동선 과학전문가입니다.비오는날에는 보통 저기압이 생성되며 기압차로 인해 대기는 하강기류가 발달하게 됩니다 때문에 집안 공기도 상승을 못하고 확산이 안되어 집안내부에 머무르게 됩니다 답변이 되었나모르겠네요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인간이 제일 멀리 갈 수 있는 우주의 거리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인간이 지금까지 가장 멀리 간곳은 달입니다 1972년 달에 착륙한 아폴로 17호를 끝으로 인간은 지구이외 다른 행성이나 위성에 간적이 없습니다 주로 화성이나 태양계 다른 행성에 무인탐사선을 보냈으며1977년 발사된 보이저호가 인간이 보낸 우주탐사선중 가장멀리에 있으며 현재 태양계 가장자리를 막 넘어 태양권 궤면부근에 도착한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나 모르겠네요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10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이 주로하는 일?은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공위성은 여러종류가 있습니다 기상위성, 통신위성, 과학위성, 군사위성등으로 크게 구분할수 있고 수명은 5~10년정도로 주기적으로 교체가필요합니다 덕분에 우주쓰레기의 양도 매년증가하고 있습니다 모든 인공위성에 어느정도 고해상도 카메라는 기본탑재되어 있어 주목적 이외에는 주로 지구관측업무를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과속카메라는 어떤 원리로 작동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속력은 이동거리를 이동시간으로 나눈값으로 계산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km/h라는 표시는 한시간동안 이동거리가 100키로미터라는 뜻으로 속력을 뜻하죠 과속카메라의 프로그래밍된 수많은 센서는 일정길이 도로의 모든 차의 시간과 이동거리를 분석합니다 일정거리를 얼마의 시간으로 이동하였는지 계산하여 속도위반 여부를 판단하게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6일 작성 됨
Q.
중국과 미국의 냉전체제에서 달로 우주선보내는 얘기가 나오더라구요. 돈들여서 달로 우주선을 보내는게 부가가치가 높을까요?
안녕하세요. 미국이 다시 달로 가는 이유는 크게 2가지때문입니다헬륨3 선점과 향후 화성을 가긴 위한 전초기지를 세우기위함입니다 헬륨3는 현재 활발히 연구중이 핵융합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함인데 에너지 효율이 기존대비 7배이상이라고 합니다 지구에는 헬륨3가 자연상에거의 존재하지않고 인공적 생산에도 극히소량으로 상업성이 없는데 로켓기술이 발달하면서 달에서 채취해서 지구로 가져오는 것이 조만간 상업적가치가 생길거라 하네요 그럼 답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6일 작성 됨
Q.
태양빛은 왜 8분 뒤에 오나요??
안녕하세요. 빛이 속도때문입니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1억5천만키로미터이고 빛의 속도는 초속 30만킬로미터 이므로 태양에서 생성되는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데 약 8.3분 소요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보는 태양은 항상 8.3분전의 태양이고 지금 현재의 태양은 볼수없습니다 밤하늘의 별들도 마찬가지로 수백수천년의 별들입니다 밤하늘의 별들은 모두 엄청난 과거의 모습입니다과거의 모습을 볼수밖에 없는 이유는 우주는 상상도 힘들정도로 무한한 거리이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8월 4일 작성 됨
Q.
빛의속력으로 움직이면서 세상을 보면...
안녕하세요.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것은 불가능하지만빛속도의 99%로 비행하는 우주선에 질문자님이 타고 계신다고 가정해보죠 우주선이 지구주위를 계속 돌고있고 우주선안에서 지구내부를 훤히 볼수 있다고 하면 질문자님이 보시는 지구는 동영상빨리감기를 하는것처럼 보일겁니다 건물은 몇초만에 지어질것이고 어린이가 금방 노인이 되는것을 보실수 있어요이게 가능한 이유는 상대성 이론때문입니다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이는 우주선안의 시간은 극히 느려지며, 지구에서 우주선 안을 바라보았을때 질문자님은 항상 정지해 있는것처럼 보일껍니다 좋은 답변이 될지 모르겠네요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7월 28일 작성 됨
Q.
지구의 있는 물은 줄지않고 항상 같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구는 거대한 하나의 닫힌계입니다 물을 포함한 지구 모든 물질은 지구내부에서 계속 순환하며 이론적으로 새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습니다 지금 내몸안에 있는 수분은 수백년전 다른 사람에 있던 수분일수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대기를 통해 극소량의 원소 손실은 발생하며 최근 약 60년 동안은 우주로 인공위성발사로 인한 손실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손실량은 무시할 수준의 양이며 반대로 가끔 지구에 떨어지는 운석으로 증가량도 있겠네요 오랜 시간이 흘러 지구중력이나 자기장이 약해진다면 대기를 통해서 손실량이 늘어날 겁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