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여진족은 수많은 동아시아유목민족에서 오랜기간 강성하게 자리를 잡았나요
여진족은 동아시아 유목민족 중에서도 오랜 기간 강성하였습니다. 12세기 완옌부 아골타가 부족을 통합하여 1115년 금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1125년 북송을 멸망시키고, 화북 지방을 지배하였습니다. 전통 유목 생활에 더해 15~16세기는 농업을 적극적으로 도입, 발전시켰고 명, 조선과의 무역을 통해 경제력을 키웠습니다. 금나라 멸망 후에도 여러 여진 부족으로 몽골, 조선, 명의 견제를 받다가 1616년 누르하치에 의해 다시 통일되어 후금이 건국되었습니다. 이후 1636년 청으로 발전하여 중국 대륙 전체를 지배했습니다. 여진족은 유목민 특유의 군사력과 기동성, 그리고 한족·거란 등 주변 문명과의 융합, 실용적 제도 도입(예: 과거제, 농업, 행정제도)으로 장기적 존속과 발전을 이뤘습니다.
Q. 당나라와 당대 돌궐족과는 어떤 관계였나요
당 고조 이연은 돌궐의 지원을 받아 왕조를 세웠으나 이후 돌궐이 중원의 통일을 견제하며 당과 적대적 관계로 전환하였습니다. 돌궐은 당나라를 위협하며 여러 침공했고, 당태종 즉위 초에는 돌궐군이 장안 근처까지 진입하기도 했습니다. 7세기 중반 돌궐 내부 분열과 자연 재해로 약화되자 이이제이 정책을 써 돌궐을 분열시키고, 630년 동돌궐을 정복해 복속시켰습니다. 이때 당 태종은 ‘천가한(天可汗, 유목민의 칸)’으로 추대되며 돌궐을 포함한 북방 유목민을 통치했습니다. 당은 돌궐 왕족과 귀족을 지방 도독, 장군 등으로 임명해 통치에 참여시켰고, 돌궐 병력을 당군에 편입해 서역 원정 등 군사작전에 활용했습니다. 이후에도 서돌궐 등 일부 돌궐 세력은 독립을 유지하며 당과 충돌하였습니다.
Q. 중국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어떤 종교가 가장 대중적으로 미쳤던건가요?
중국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영향을 끼친 종교는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불교, 도교, 유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불교는 한나라 이후 널리 퍼져 사찰, 문화, 예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깊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도교는 중국 고유의 종교로 자연과 조화를 중시하며, 민간 신앙과 결합해 오랜 세월 생활 속에 뿌리내렸습니다. 유교는 철학이자 사회 윤리 체계로 조상 숭배와 제사 문화, 국가 통치 이념 등 중국 문화와 사회 질서의 근간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