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통리기무아문이 한 역할이 무엇인가요?
통리기무아문은 1880년 12월 개화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치한 최초의 근대적 행정 기구입니다. 12개 부서를 두어 외교, 군사, 통상, 번역, 어학 등을 담당하였습니다. 주요 역할을 외교 및 통상 업무 총괄, 군사 및 국정 전반 관리, 그리고 개화정책의 추진을 주도하였습니다.특히 청에 영선사와 일본에 조사시찰단을 파견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화폐 주조, 금은 광산 개발, 홍삼 관리 등 국가 재정 확충과 경제 개혁을 담당했습니다.
Q. 당나라는 중앙정부가 각 지방을 어떻게 통치했나요
당나라 중앙 정부가 각 지방을 10~15개의 "도"로 나누고, 그 아래 "주", 그리고 "현"을 설치하여 관리하였습니다. 각 주와 현에는 중앙에서 임명한 관리를 파견하여 지방의 자치와 권력의 집중을 막았습니다. 지방관은 중앙 정부에서 직접 임명하고, 자신의 출신지에는 부임하지 못하게 했으며, 일정 기간마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켜 지방 세력과의 유착을 방지했습니다. 또한, 이들의 군사력이나 사병 보유도 엄격히 제한했습니다. 그 외에도 당나라는 도로망, 역참, 운하 등을 활용하여 지방을 관리하였습니다. 또한 중앙의 감찰관이 지방을 순시하며 관리의 부정·비리를 감시했고, 지방의 세금·공물은 중앙으로 직접 보고·납부하게 했습니다.
Q. 조미수호 통상 조약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1880년 2차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된 김홍집이 가져온 조선책략의 영향으로 미국과 조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황준헌이 지은 조선책략은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을 해야하며, 개화정책 추진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정부의 미국과 수교, 개화 정책의 필요성을 대두된 것입니다.1882년 청은 러시아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알선하여 5월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주요 내용은 거중조정, 관세 조항, 그리고 최혜국대우와 영사재판권이 포함되었습니다.
Q. 유길준과 부들러의 중립화론은 무슨 주장을 하나요?
1884년 갑신정변 이후 한반도를 둘러싸고 열강들의 침략 경쟁이 확산되면서 일부에서 조선 중립화론이 제기된 것입니다 . 갑신정변 이후 청의 간섭이 심화되면서 조선은 러시아와 비밀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러시아와 경쟁하고 있었던 영국이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1885년 거문도를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납니다. 갑신정변 이후 일본, 청, 러시아, 영국의 침략 경쟁이 심화되자 독일의 부영사 부들러, 개화 정치가 유길준은 조선을 중립화하자라는 주장을 내세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