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Q.  북한 가수 김옥주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김옥주는 북한의 대표적인 여성 가수로 1985년생이며 은하수 관현악단, 청붕악단, 삼지연관현아가단 등 북한 주요 악단에 활약하였습니다. 그녀는 민요부터 러시아 팝까지 아우르는 가창력 높은 가수입니다. 최근에는 국무위원회연주단의 보컬 리더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김정은 집권 이후에도 북한 예술계의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잡고 있으며, 2021년 북한 예술인 칭호인 "인민배우"를 받았습니다. 김정은과 관계는 매우 각별한 것으로 추측합니다. 김정의 부인인 리설주와 같은 금성학원 출신 선후배 관계입니다.
Q.  과전법과 직전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과전법은 고려말 1391년 토지 개혁에 따라 시행된 것으로 신진사대부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직 관리 외에도 퇴직 관리도 지급하며, 일부는 수신전과 휼양전 명분으로 세습되어 토지가 부족해졌습니다. 따라서 세조 12년(1466)에 직전법을 시행하여 현직 관리 대상으로 제한하고, 수신전과 휼양전을 폐지하여 세습이 불가능하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직전법 시행으로 관료들의 토지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여 농민들에게 부담을 심화시켰습니다.
Q.  광해군이 대동법을 시행한 이유가 뭔가요?
광해군이 대동법을 시행한 배경은 공납제의 폐단에서 기인했습니다. 공납은 가호 기준으로 특산물을 납부합니다. 그러나 대납, 방납으로 인해 농민들의 부담이 컸습니다. 특히 방납은 관청의 아전과 상인들의 농간으로 농민들의 납부를 거부하면서 농단이 심각했습니다. 따라서 광해군은 1608년 토지 단위를 기준으로 쌀, 포, 동전으로 납부하게 하여 백성들의 부담을 해소하게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토지 1결당 쌀 12두를 거두게 한 것입니다.
Q.  우리나라 최초의 시는 무엇이고 누가 지은 건가요?
우리나라 최초의 시는 일반적으로 "공무도하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무도하가는 고조선 시대의 작품으로 한국 시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시가로 평가됩니다. 공무도하가는 머리가 센 미친 백수광부가 강을 건너다 익사하자 그의 아내가 슬픔에 겨워 공후라는 악기를 타며 부른 노래로 전합니다. 고조선 사람들의 정서와 슬픔, 사랑을 담은 시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지가는 가락국의 건국신화,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이 지은 개인 서정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Q.  구포,영등포,노량진등 이처럼 옛지명 이름끝에 붙어 지역의 특색에 영향을 미치나요?
구포, 영등포, 노량진 등에 붙은 포, 진은 지리적, 교통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는 지명입니다. "포"는 물가, 나루터를 의미합니다. 영등포, 구포 등은 모두 강이나 바닷가 나루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진"는 나루터, 강을 건너는 곳을 의미합니다. 노량진은 한강 남안에 위치한 나루로 서울과 남쪽 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입니다.
2712722732742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