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3개월 전 작성 됨
Q.
조선시대에서 유명한 장군을 제외한 잘 안알려진 싸움을 잘하는 안알려진 장군이 있었다면 어떤 장군이 있나요??
조선시대 이름이 덜 알려진 장군으로는 충무공 이응하 장군으로 광해군 시기 명나라와 연합하여 후금과 싸운 사르후 전투에 참전하여 선봉에 서서 적의 기병을 세차례나 격퇴하였습니다. 그리고 김현경 장군은 1871년 신미양요 당시 강화도 광성보 전투에서 미군에 맞서 싸운 장수로 손돌목 포격 사건에 미군을 격퇴하고 상륙을 저지했습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간도 지방의 조선인들도 만주국의 국적을 받았나요?
간도 지방에 거주하던 조선인들은 만주국이 성립한 되에도 자동적으로 만주국 국적을 부여받은 것은 아닙니다. 만주국 정부는 현지 조선인들에게 만주국적을 부여하려 했으나 조선총독부가 이를 반대하여 불가능했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인들은 일본 국적을 유지하였습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교황 선종 후 '콘클라베'라는 용어가 자주 나오던데요. 무엇인가요?
콘클라베는 교황이 선종하거나 사임한뒤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기 위해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열리는 비밀 회의를 말합니다. 이 용어는 라틴어 cun clave (쿰 클라비)(열쇠로 잠근 방)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콘클라베는 추기경들이 외부와 완전히 찯단하고 교황을 선출할 때까지 그 곳을 벗어날 수 있도록 문을 잠그는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콘클라베는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이내에 개최되며 80세 미만으 추기경들만이 선거권을 가집니다. 투표는 비밀리에 진행되며 전체 인원으 2/3 이상을 득표해야 합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최초의 로마 황제라고 보는 의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로마에서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를 공식적으로 황제의 시작으로 봅니다. 그러나 카이사르를 로마 최초의 황제라 보는 것은 종신 독재관이라는 전례 없는 권력을 부여받아 로마의 모든 국가 기구에 군림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임시 독재관과 달리 임기 제한없이 실질적으로 로마를 통치했습니다. 특히 카이사르는 '임페라토르'라는 칭호를 사용하였으며, 그의 명령 아래 모든 관료와 군대가 움직였습니다. 비록 카이사르는 암살되었지만 이후 황제들이 '카이사르'라는 이름올 황제의 대명사로 사용했습니다.
3개월 전 작성 됨
Q.
고대 문명들의 전재과 경제적 요인이 현대 정치에 어떤 교훈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고대 전쟁과 경제적 요인은 현대 정치 및 국가 운영에 교훈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고대 로마는 전쟁 포로 노예에 의존하였습니다. 특히 포에니 전쟁 이후 라티푼디움이 확대되면서 대규모 노예 노동에 의한 값싼 곡물이 대량으로 로마로 유입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자영농이 몰락을 초래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공화정의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3세기 콜로나투스의 유행으로 교환 경제 체제가 붕괴되고 자급자족적 농업 형태로 퇴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고대 그리스 아테네에서는 기원전 7세기 화폐 경제 도입 후 상공업 계층의 성장이 귀족 정치를 위협하며 사회 갈등을 초래했습니다. 솔론 개혁(기원전 594년)은 부채 탕감과 4계급제 도입으로 위기를 모면했으나, 귀족 특권을 완전히 철폐하지 못해 장기적 안정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참주정치를 거쳐 민주정을 출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06
307
308
309
3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