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4월 12일 작성 됨
Q.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한 황금의 주산지가 어디였나요?
고대 이집트는 황금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집트는 나일강 동쪽 사막 지역과 누비이(현재 수단 북부)에 풍부한 금광이 있었습니다. 특히 누비아는 고대 세계에게 가장 중요한 금 생산지였다고 합니다. "누비아"라는 이름 자체가 고대 이집트어로 "금"을 뜻합니다. 이는 파라오의 통제를 통해 관리되었습니다. 그리고 대외 무역을 통해서도 서아프리카, 메소포타미아. 크레타, 시리아 등과 교류하면서 금을 교환하거나 추가로 확보했습니다.
2025년 4월 12일 작성 됨
Q.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출도된 황금의 양이 얼마나 되나요?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굴된 금 제품으로는 우선 순금 약 10.23kg의 황금 마스크가 있습니다. 순금과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안쪽에 있는 관은 무게가 110kg에 달하는 순금관이 미라를 담고 있었습니다. 두개의 유물만 합쳐도 120kg 달합니다. 이 외에도 황금 유물이 5000여점이나 발굴되어 모두 합치면 수백kg에 달할 것으로 추정합니다.
2025년 4월 12일 작성 됨
Q.
금이 화폐로 쓰이기 시작한 것이 언제부터였나요?
금이 최초로 화폐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7세기 소아시아 리디아 왕국입니다. 리디아는 금과 은의 자연 합금인 호박금(일렉트럼)으로 주화를 제작하여 교환 수단으로 활용했습니다. 호박금은 금 2/3, 은 1/3로 합금하여 만들었습니다. 금화에는 사자의 머리가 새겨져 있으며, 이는 리디아 왕국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
2025년 4월 12일 작성 됨
Q.
신라는 어떻게 많은 금을 확보할 수 있었나요?
신라는 당나라와 무역이 발달하여 금은 세공품을 수출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금을 포함한 사치품과 귀금속을 많이 수입하였습니다. 특히 울산항은 국제항으로 이슬람 상인들도 찾아 교역할 정도로 서역에서 금과 보석 등 귀금속이 많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또한 일본과 중계 무역으로 금이 거래되었습니다. 신라인의 뛰어난 세공 기술은 무역을 통해 확보한 금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2025년 4월 12일 작성 됨
Q.
18세기의 인구증가율이 둔화된 이유는 뭘까요?
17~18세기 양란을 극복하면서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그리고 이앙법, 이모작 등으로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인구가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자연재해와 기근, 질병(천연두)이 빈번이 발생하면서 인구 증가가 둔화되었습니다. 또한 19세기 세도정치로 인한 탐관오리의 수탈로 삼정이 문란하며서 민생이 악화되어 출산율이 감소했습니다.
371
372
373
374
3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