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지구리셋설 에 있어서 납득할 증거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지구 리셋설은 인류 문명이 반복적으로 멸망하고 재건된다는 가설입니다. 터키에서 발견된 약 1만 2천년전의 유적 괴베클리 테페를 통해 농경 시대 이전에 불가사의한 고도화된 문명의 존재를 보여줍니다. 또한 인더스 문명의 갑작스러운 소멸, 피리 레이스 지도 등을 사례로 듭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거들은 흥미롭지만 대부분 과학저긍로 검증이 되지 않으며, 해석의 여지가 있습니다.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여흥민씨가문은 어떤 가문이었나요?
여흥 민씨는 고려 중엽 중국에서 귀화한 민칭도를 시조로합니다. 이후 민칭도의 후손들은 고려에서 관직을 나서 가문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여흥민씨는 고려 말기 충선왕 때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재상지종"으로 꼽힐 정도로 정치적 위상이 높았습니다. 고려말 민선의 딸이 이방간과 그리고 민제의 딸이 이방원의 아내가 되면서 조선 초기 외척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조선 후기에 숙종의 인현왕후, 고종의 명성황후가 여흥민씨 가문입니다.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고려시대는 일부다처제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고려는 법적으로 일부일처제가 원칙입니다. 그러나 왕족과 귀족, 권문세족 등 상류층은 일부다처제를 했습니다. 이는 정치적 연대를 강화하는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고려 말 원간섭 시기는 몽골의 유목민적 일부다처 풍습이 유입되면서 상류층은 다체제가 더욱 확산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여성의 지위가 높아 여성들의 큰 반발을 사기도 했습니다. 예를들어 박유가 다처제를 공식적으로 제안하였으나 건센 반발을 샀습니다.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고려때는 왜 데릴사위가 기본적인 풍습이었나요
고려시대는 여성의 지위가 높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결혼한 이후 남편이 처가에 사는 처가살이, 즉 데릴사위가 많았다고 합니다. 이는 처가에 데릴사위로 받아들어 노동력을 유지하려는 의도이기도 합니다. 또한 아들이 없는 집은 데릴사위를 맞아들어 가계를 잇게 했습니다. 그 외에도 재산에서 자녀 균등 상속, 제사도 윤회 봉사 등 여성의 지위가 조선 시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조선 왕 정종의 성격은 어땟는지 궁금합니다
조선 2대 국왕 정종, 이방과는 온화한 성격으로 관대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타인을 배려하고 조화를 이루려는 성격을 가졌습니다. 또한 형제간의 갈등을 중재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런 성격은 왕자의 난 이후 세자 책봉을 완강히 거부하며 자신의 공로보다 동생 이방원의 공로를 높게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496
497
498
499
5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