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칭기스칸과 수바타이는 처음에 어떻게 만나게 되었나요?
수부타이는 1176년 태어났으며, 13살때인 1189년부터 형 젤메를 따라 칭기즈칸의 수하로 활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용맹하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하는 인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병사로 시작해 점차 장수로 성장하였습니다. 1205년 메르키트 부족이 칭기즈칸의 아내를 납치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칭기즈칸은 보복에 수부타이는 병사들을 유목민으로 위장시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성공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30년넘게 대몽항쟁시절 전투에서 승패를 고려가 어느정도나 했나요
몽골은 1231년부터 1259년까지 7차에 걸쳐 고려를 침략했습니다. 1차 침입시 귀주성에서 박서 장군이 저항했으나 고려는 강화를 맺게 됩니다. 그러나 고려는 1232년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전을 펼치게 됩니다. 그리고 2차(1232)에는 김윤후가 적장 살리타를 사살하였으며, 3차(1235) 때는 죽주성에서 송문주가 이끄는 고려군이 몽골군을 격퇴하였습니다.그리고 4차 침입(1247) 당시에는 고려의 저항과 몽골 내부 문제로 철수하였으며, 5차(1253)에는 약탈이 심각했으나 고려의 저항으로 큰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6차(1254), 7차(1257)에도 고려의 저항으로 철수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청나라시절 조선의 조총사격이 얼마나 뛰어났던건가요?
청나가 중원을 지배하였던 시기에 조선의 조총부대의 능력을 매우 뛰어났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특히 17세기 나선정벌에서 그 시력이 두드렀습니다. 당시 청나라는 러시아 국경 분쟁에서 패배한 이후 조선에 조총부대의 파병을 요청했으며, 1654년과 1658년 두차례에 걸쳐 파병하였습니다.이 때 러시아군과 전투를 벌여 큰 성과를 냈습니다. 당시 조선의 조총부대는 정확한 사결술과 전술적 능력에 대해 청에게 과시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거란군은 어떤 목적으로 고려를 그렇게 세 차례에 걸쳐서 침입을 했나요?
거란은 고려를 3차에 걸쳐 침입하였습니다. 993년, 1010년 1018년 3차에 걸친 거란의 고려 침입하였습니다. 거란은 송이 960년 중원을 통일하자 연운 16주를 놓고 대결 구도가 펼쳐질 것을 예상하였습니다. 그런데 고려는 송과 친선 관계였습니다. 따라서 거란의 송의 세력을 꺾기 위해서는 고려를 송과 관계를 단절시킬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3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략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베네치아공국이 언제부터 무시되는 존재로 평가절하가 되나요?
베네치아 공화국은 8세기부터 1797년까지 약 1000년 동안 존재했던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국가였습니다. 베네체아 공화국은 15세기 키프로스와 에게해의 여러 섬들을 복속하고 이탈리아 본토와 달마티아 연안에 속주를 차지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습니다. 그러나 1453년 동로마 제국의 멸망과 오스만 제국의 부상되면서 그 위세가 약화되었으며, 결정적인 것은 16세기 후반 신항로 개척 이후 쇠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797년 나폴레옹에 의해 공국이 해체되면서 베네치아 공화국은 역사 속에 사라졌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나라와 청나라가 조선을 2등체강의 위치에 있는데 이게 어떤 위치에 있는건가요
중국의 제후국이라고 모두 동일한 대우를 받은 것이 아닙니다. 조선과 일본을 보면, 조선은 중국에게 친왕(親王)의 대우를 받았으며, 왜는 중국에게 군왕(郡王)의 대우를 받았습니다. 조선은 2등급을 낮춰 대접하였고, 왜는 3등급을 낮춰 대접하였음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보통 제후왕의 경우 두 등급을 낮춰 보게 되는데, 이를 이등체강(二等遞降)이라 합니다.조선이, 명과 청으로붜 이등체강을 받은 이유는 정치적 안정과 지리적으로 중국과 가깝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중국의 안보와 외교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문화적 유사성으로 조선은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이외에도 중국의 무역 파트너로 조선은 매우 중요한 파트너였기 때문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병자호란 이후 후금은 돌아갈때 수십만명의 백성들을 포로로 가져가나요?
병자호란(1636-1637) 이후 청은 50만명 이상의 조선인들을 청으로 끌고 갔습니다. 청이 조선에서 왕자들을 비롯해 수많은 백성들을 인질로 데려간 이유는 조선에 대한 사대 관계를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조선의 친명 관계를 단절하고, 청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도록 강요했기 때문에 소현세자, 봉림대군을 포함하여 인질로 끌고 갔던 것입니다. 또한 조선의 왕족과 고위 관료들을 인질로 삼아 조선 내부의 반란이나 저항을 방지학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많은 조선인들을 데려가 노동력으로 활용하거나 몸값을 챙겨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항해시대 사람들은 배를 타고 가다가 죽는경우가 많았을텐데 왜 모험을 했을까요?
대항해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걸고 항해에 나선 이유는 우선 부와 명예 때문입니다. 그들은 금, 은, 향신료 등 귀중한 자원을 발견하여 부를 축적하고 명예를 얻고자 하였습니다. 특히 향신료는 엄청난 수익을 자져다 주었기 때문에 죽음을 무릎쓰고 위험을 감수하고 항해에 나섰던 것입니다.그리고 이들의 종교적 열망이 항해에 나섰던 것입니다. 당시 유럽은 기독교 사회였기 때문에 많은 탐험가들은 새로운 땅에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종교계에서 지동설을 받아들인 것은 언제부터였나요?
가톨릭 교회는 1616년 코페르니쿠스의 저서를 금서 목록에 올리고, 갈릴레이에게 지동설 지지에 지지하는 활동을 중단할 것을 경고하였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과학적 증거들이 축적되면서 1822년 교황청에서 지동설을 부정하였던 교회의 결정을 철회했습니다. 이후 1835년 코페르니쿠스의 목록에서 완전히 삭제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5만원권의 모델로 올랐던 최종후보에는 어떤 위인들이 있었나요?
2009년 5만원권 모델로 신사임당과 장영실이 최종 후보 모델이었습니다. 한국은행은 각계 전문가와 한은 부총재 등이 참여한 화폐 도안자문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지폐에 들어갈 인물 후보로 20명을 선발한 후 성인 남녀 1000명과 각계 전문가 150명을 대상으로 후보를 10명으로 압축하여 신사임당과 장영실이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여성의 사회 참여를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취지로 신사임당을 최종 선정하였습니다.
8668678688698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