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 후기에 천주교 박해사건에는 언떤 사건들이 있었나요?
조선 후기 천주교 확산은 유교 질서와 가치관과 충돌하여 박해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1791년 진산 사건으로 일어난 신해박해는 윤지충과 권상연이 제사를 거부하여 일어난 사건입니다. 이들은 결국 처형되었으며, 최초의 천주교 순교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1801년 순조 즉위 이후 정순왕후 주도로 신유박해를 일으켜 정약용 등 천주교 신자들을 탄압하였습니다. 헌종 때 1839년 기해박해를 일으켜 천주교 신부인 엥베르, 모방, 샤르탕 등을 체포 처형하고 신자들을 처형했습니다. 1866년 흥선대원군 집권 이후 병인박해를 일으켜 8000여명의 베르뇌 주교 등 9명의 프랑스 선교사와 천주교 신자 8000여명을 처형했습니다. 병인박해로 병인양요가 일어나는 구실이 되었습니다.
Q. 조선 후기에 상업과 시장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등장한 민간 상인이 국가재정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었나요?
조선의 유교적 통치 이념에 따라 농업을 장려하고, 상공업을 통제하였습니다. 그러나 양란이후 중농억상 정책은 변화되었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 대동법 시행, 수공업의 발달, 도시 인구의 증가 등으로 상품 수요가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조선 후기에는 사상이 등장하였습니다. 특히 정조 때 통공정책의 시행으로 사상의 확대되었습니다. 일부 사상은 상품에 대한 독점 판매와 무역을 통해 자본을 축적하였는데, 이는 도고로 발전했습니다. 지방의 포구 및 도시에는 객주, 여각이 등장하였습니다. 또한 향촌에는 정기시인 장시가 출현했으며, 보부상들이 활약했습니다.상업의 발달은 상업세, 시장세, 통행세, 전매세 들의 세수를 증대시켜 국가 재정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Q.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은 언제끔 종전 될까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전쟁의 종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몇 가지 주요 트리거를 살펴보면, 우선 양측이 협상 테이블에 앉아 평화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그리고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경제 제재, 외교적 압박, 그리고 국제기구의 중재 등이 두나라를 협상 테이블로 이끌 수 있습니다.또한 양측이 군사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교착 상태에 빠질 경우, 전쟁을 지속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할 경우에 협상테이블에 나설 수 있을 것입니다.양국 내부에서 정치적 변화가 일어나면 전쟁의 방향이 바뀔 수 있습니다. 즉, 러시아 내부에서 푸틴 대통령의 신변 변화, 우크라이나에서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하는 경우 등입니다.그외에도 미국이나 유럽연합 등 주요 국가들의 군사적, 경제적 지원이 변화하면 전쟁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Q. 과거 신라가 당나라로 일찌감치 교역하고 방문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신라가 당나라와 친선 관계를 선택하고, 교역을 추진한 이유는 정치, 경제, 군사적 이유입니다. 정치적으로 신라는 고구려, 백제의 위협에 대응해야 했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강력한 외부 세력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당나라와 교역을 통해 문물을 수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번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또한 군사적으로 백제, 고구려의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당나라와 군사적 동맹이 절실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648년 나당 동맹을 체결하여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