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장보고가 세운 청해진은 교역을 위해 어느 나라의 상인까지 들어왔었나요?
장보고는 828년 전남 완도에 해군 및 무역 기지로 청해진을 설치하였습니다. 당시 청해진은 신라와 당나라, 일본을 잇는 해상 교통의 요지였습니다.청해진 교역에 참여한 상인들은 신라, 당나라, 일본 상인들입니다. 신라는 청해진을 통해 당에 다양한 물품을 수출하고 수입했습니다. 당은 비단, 서적, 도자기 등을 교역품으로 무역하였으며, 일본 상인들도 청해진을 통해 신라, 당과 교역했습니다. 그리고 아랍 상인들도 향신료, 보석, 약재 등을 거래하며 동아시아 무역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Q. 왜 원균의 성품이 난폭하다는 주장이 있나요?
원균의 성품에 대해서는 용맹하지만 과격했다고 합니다. 과격한 성품 탓에 지휘관으로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고 하네요. 이러한 성격 때문에 장병들을 장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합니다.다만 이순신 장군과의 관계는 좋지 않은 듯합니다. 에 따르면 30여차례 불편한 관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흉악하고 음험하다는 등 개인적인 내용도 있으나 고립된 고립된 아군을 내버려두고 구하지 않는다든지, 잘못된 공문을 보내어 군대를 동요하게 했다든지, 적을 치러 가자는 공문을 보내 놓고 답장을 보내자 취했다는 이유로 살펴보지 않는다든지, 자신의 전력은 따로 빼놓고 적을 치러 출동하자고 독촉하는 등 장수로서 결격사유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이영남, 이여념 등 원균의 부하 장수들이 이순신에게 와서 원균의 비리를 고하는 상황까지 빚어졌습니다. 이렇듯 이순신과 원균 사이에는 불신이 쌓여, 이순신은 원균의 보고를 불신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었었다고 합니다.
Q. 아이작뉴튼의 빛에 관한 업적은 무엇인지?
아이작 뉴턴은 과학과 수학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뉴턴은 모든 물체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 즉 만유인력이 존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천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법칙으로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운동의 법칙을 통해 물리학의 중요한 원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는 운동의 3법칙으로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고전 역학의 기초를 이룹니다. 수학적으로는 미적분학을 개척하였습니다. 그리고 프리즘을 사용하여 빛을 분해하고, 빛의 스팩트럼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반사 망원경 제작, 물체의 식는 속도를 설명하는 냉각 법칙을 제안했습니다.
Q. 한가위에 전해지는 풍습은 어떤게 있나요?
한가위, 즉 추석 명절의 대표적인 전통 풍습으로는 송편 만들기가 있습니다. 추석이 되면 햅쌀로 빚은 송편을 만들어 먹습니다. 송편은 반달 모양으로 속에는 콩, 깨, 밤 등이 들어갑니다. 전통 놀이로는 강강술래, 씨름, 달맞이, 윷놀이, 널뛰기, 제기차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