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나폴레옹의 프랑스는 프로이센왕국과 적극적으로 대립하거나 싸우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프로이센은 대프랑스 동맹국으로 나폴레옹과 대립하였습니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유럽 원정 당시 영국, 오스트리아, 러시아와 달리 프로이센과 적극적으로 싸우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우선 순위 때문입니다. 나폴레옹은 오스트리아, 러시아, 영국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었고, 프로이센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여겼습니다.그리고 나폴레옹이 프로이센에 전쟁에 투입이 어려웠으며, 프로이센을 완전히 무너뜨리기보다는 그들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프로이센을 자신의 동맹국으로 만들거나 최소한 중립 상태로 만들려고 했습니다.
Q. 영국은 1700년대 당시 프로이센왕국을 적극 지원한 배경이 무엇인가요
원래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1748)에서 영국은 오스트리아를 지원하였습니다. 그러넫 7년 전쟁(1756-1763)에서는 프로이센을 지원했습니다.그 이유는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서입니다. 영국과 프랑스는 오랜 기간 경쟁 관계입니다. 7년 동안 북아메리카, 인도에서 식민지 경쟁을 했으며, 이런 이유로 프로이센을 지원하였습니다. 그리고 영국은 세력균형을 위해서도 프로이센을 지원했습니다. 오스트리아, 프랑스, 러시아가 동맹을 맺고 프로이센을 포위하려 하자 영국은 프로이센을 지원하여 이들 국가들의 세력 확장을 억제하려 했습니다.그러고 하노버 보호도 중요했습니다. 영국 왕실은 하노버 선제후국을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하노버 보호도 필요했습니다.
Q. 변방의 프로이센은 백작으로 시작한 영지의 제후였는데 어떻게 크게 영토확장으로 강국이 될수 있던 이유가 무엇신가요
프로이센은 1701년부터 호엔촐레른 가문이 베를린을 수도로 왕국을 세워 프로이센 지방과 브란데부르크 지방을 다스리게 되었습니다. 프로이센이 독일의 여러 제후국가들 가운데 강성할 수 있었던 배경은 18세기 프리드리히 대왕의 군사 전략과 전술에 혁신을 바탕으로 군사 혁신을 달성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와 왕위계승전쟁과 7년전쟁에서 승리하였으며, 폴란드를 분할 점령할 수 있었습니다.또한 중앙집권적 행정 체계을 통해 국가 효율성을 높이고, 세금 징수와 자원분배가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프로이센은 19세기 상업과 산업을 장려하여 경제를 발전시켰으며, 교육과 행정 개혁을 통해 인재를 양성하고 국가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Q. 독일은 왜 제후국으로 여러개로 쪼개어있었나요?
신성 로마 제국 당시 독일은 수백개의 제후국으로 나누어 있었습니다. 특히 17세기 말과 18세기 초에는 300여개 이상이 제후국이 존재했습니다. 그 가운데 7선제후국은 1356년 카를 4세의 금인칙서를 바탕으로 황제를 선출할 수 있는 나라로 마인츠 대주교, 퀼른 대주교, 트리어 대주교,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작센 공작, 보헤미아 왕입니다.그런데 1806년 나폴레옹이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고 1815년 빈체제 하에서는 독일 연방의 이름으로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35개국와 4개의 자유시로 구성되었습니다. 결국 1871년 프로이센 중심으로 독일제국으로 통일되었습니다.
Q. 서양 유럽 열강들의 산업혁명 이후 제국주의 충돌 전쟁?
산업 혁명에 성공한 유럽의 독점 자본주의 국가는 상품시장, 원료공급지, 자본 투자지 확보를 위해 식민지를 넓히려는 정책을 했는데, 이 것이 제국주의 입니다. 제국주의 국가는 자신들의 침략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해 인종주의, 사회진화론 등을 내세웠습니다. 그러나 뒤 늦게 통일과 산업혁명으로 제국주의 대열에 나선 독일 등은 배타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판세에 끼어들었고, 그 과정에서 모로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발칸 반도는 범게르만주의, 범슬라브주의가 충돌하고, 3B와 3C정책, 그리고 3국 동맹과 3국 협상이 충돌하는 지역이었습니다. 결국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의 발발로 1차 대전으로 확산됩니다.